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는 말
2. 고마쓰가와 사건과 〈교사형〉
3. 타자의 등장과 위기의 공간
3. 실제와 가상의 전도
4. 민족과 국가에 의해 상상되는 타자
5. 타자를 향한 폭력과 국민의 특권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일 조선인, 불안정한 정체성
아트인컬처
2022 .05
패전 후 일본영화 속 재일조선인 연구: 영화 <벽 두꺼운 방(壁あつき部屋)>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20 .01
정종여와 재일조선인 미술교육과의 접점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4 .07
초현실주의 화가 마나베 히데오 (김종남)의 생애와 작품 - 제1세대 재일조선인의 정체성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9 .12
재일조선인 표상과 시선의 주체: 이마무라 쇼헤이 〈니안짱〉(1959)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2022 .04
동시대 재일코리안 미술에 나타난 탈식민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6 .06
재일코리안의 아리랑 여정(旅程)
이화음악논집
2020 .01
재일코리안 극단 연구 - 극단 아랑삶세를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2020 .01
저자의 경계 넘기가 밝혀준 재일동포 무용사
무용역사기록학
2021 .09
경계 밖의 디아스포라 -재일교포에 대한 다큐멘터리 사진 재현방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8 .04
재일코리안 2세 무용가 연구 -개인별 창작 활동 및 창작 다고무의 특징을 중심으로 -
우리춤과 과학기술
2021 .11
재일디아스포라의 노래 <임진강>
음악과 현실
2021 .01
재일동포 고삼권 작품의 조국 이미지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7 .06
1910년대 경성 북촌 조선인 극장가의 조직과 종족공간적 구성
한국연극학
2017 .08
히라타 오리자 작?연출 ‘서울시민’ 4부작 연극의 조선인 등장인물 연구 - 식민 피지배자의 표상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2021 .12
한일 독립영화계, 최초의 조우에서 초연결 시대 상호연계까지
영화연구
2022 .03
1900년대~1910년대 경성 소재 일본인 극장의 일본 전통예술 공연 양상
국악원논문집
2015 .06
The eyes of the Koreans
International Invitation Exhibition of Color Works
2015 .11
재일코리안의 한국전통예술 공연 양상: 2000년~2014년까지 일본 관동지방 공연을 중심으로
국악원논문집
2016 .01
일본에서의 한국영화 수용과 이장호 영화의 효과
씨네포럼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