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생애: ‘김종남’에서 ‘가네코 히데오’를 거쳐 ‘마나베 히데오’로
Ⅲ. 일본의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마나베
Ⅳ. 조선화단의 초현실주의 회화
Ⅴ. 소수의 조선인 초현실주의 화가의 한 사람으로서
Ⅵ. 마나베 히데오의 정체성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오시마 나기사와 재일조선인 그리고 국민국가
씨네포럼
2016 .12
재일 조선인, 불안정한 정체성
아트인컬처
2022 .05
1970년대 미술가들의 정체성 찾기 : ‘한국적인 것’과 ‘동양적인 것’의 착종과 접합
미술사연구
2020 .12
패전 후 일본영화 속 재일조선인 연구: 영화 <벽 두꺼운 방(壁あつき部屋)>을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2020 .01
정종여와 재일조선인 미술교육과의 접점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4 .07
동시대 재일코리안 미술에 나타난 탈식민성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6 .06
해방 전 오사카미술학교의 조선인 유학생들의 실태와 귀국 후 행방에 대하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16 .12
재일한국인 축구선수들의 민족정체성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5 .02
대구근대화단의 일본인 미술가의 규모와 한일 미술교류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12
1950년대의 한국미술(1), 제1공화국 미술의 태동과 진통
미술사논단
2015 .06
한국과 일본 초등학생의 체육교과 선호도, 영역별 선호도, 방과 후 놀이 선호도 및 운동의 즐거움 요인 비교 연구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17 .05
통계로 보는 해방 전 재일본 조선인 미술유학생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0 .12
‘일본화’의 변천: 전후 동향을 중심으로
인물미술사학
2020 .12
‘한국의 회화’로서의 1990~2000년대 한국화
기초조형학연구
2016 .10
1990년대 한국화 읽기를 위한 제언 : 박생광 이후 채색화의 부흥과 영향
미술사논단
2018 .06
일제강점기 이상범의 신문 휘호 작품 연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2022 .12
한국과 일본대학생들의 다이어트 행동이 라이프 스타일과 신체적 자기만족에 미치는 요인 비교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20 .05
20세기 초 독일미술사 문헌이 그린 한국미술 지형도
미술사논단
2024 .12
‘세계화’와 ‘탈영토화’ 개념 중심으로 본 한국현대미술의 정체성에 관한 담론
동양예술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