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우리가 <개천절 노래>를 부르기까지
2. 주몽은 되지만 단군은 안 된다?
3. 단군, 신화와 역사의 이중주
4. ‘민족’으로 빚어낸 각양각색의 변주곡
5. 신화는 다시 만들어지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일본에서의 단군론의 성립
인문학연구
2016 .01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고조선단군학
2019 .06
단군신화의 구조 연구 - 시대별 변천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
2015 .01
단군신화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고 – 근대출현 단군자료 『부도지』의 활용
유라시아문화
2023 .02
전근대 동국의식의 역사적 성격 재검토
역사비평
2015 .05
근대 일본어 조선 설화집에 수록된 단군 신화의 양상
국문학연구
2022 .05
단군의 보편화 과정 연구
仙道文化
2024 .08
북한지역의 단군 관련 유적과 전승
고조선단군학
2020 .12
남북한의 단군연구
仙道文化
2019 .01
북한 고대사상사에 나타난 원형 담론의 변용 : 단군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25 .02
근대 단군민족주의의 계승과 단군운동 : 한말에서 임시정부 수립까지
고조선단군학
2018 .12
유·불사상을 통한 『단군신화』 인물형의 해석과 문학교육적 의의 연구
국어문학
2019 .07
조선시대 백과사전 속 ‘단군’의 표상
민족문화연구
2019 .01
조소앙의 단군민족주의와 삼균사상
고조선단군학
2018 .06
북한의 고조선 교육과 ‘김일성민족’의 단군 -1993년 이후 고등중학교 『조선력사』를 중심으로-
韓國史學史學報
2015 .01
항일독립운동과 단군민족주의
고조선단군학
2020 .12
檀君朝鮮, 神話에서 歷史로의 進入過程
고조선단군학
2018 .06
고조선 건국 신화의 곰 화소와 민족기원론
한일관계사연구
2023 .05
남파(南坡) 박찬익(朴贊翊) 집안 소장 단군영정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06
의례를 통한 단군신화의 와해 - 와우리 단군전을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