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기줄다리기의 원형적 전승과 무형유산적 가치
3. 기줄다리기의 창조적 전승과 정월대보름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월 대보름
숙명문학
2018 .10
보름 외 1편
시조시학
2016 .06
[정월대보름] 모두의 안녕을 기원하는 빛
월간 옥이네
2025 .03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역사민속학
2015 .07
줄다리기의 원형·전형·변형
남도민속연구
2017 .01
신앙과 노동 측면에서 본 정월 대보름의 융합적 현상
우리문학연구
2018 .07
신라 다리를 활용한 ‘경주다리밞기' 축제화 방안
공연문화연구
2015 .08
신라시대 설과 대보름 풍속의 재인식
민속연구
2020 .08
낙안읍성 대보름 민속의 현대적 재구성
실천민속학연구
2017 .02
[미국 서부에서 보낸 보름] 멀리에서 더 잘 보이는 사람
PAPER
2017 .12
[제철밥상] 정월대보름을 보내는 완벽한 한 상 : 복을 부르는 오곡밥과 묵나물 3종
월간 옥이네
2025 .03
전남 순천 송천마을 정월대보름 풍속 전승종목의 수용과 변용에 관한 고찰
민속학연구
2024 .06
1920년대 한국 전통줄다리기의 일본화와 지역적 전승
로컬리티 인문학
2020 .04
[꿈꾸는 안개숲] 보름달맞이
월간에세이
2022 .09
줄다리기의 현재적 전승을 위한 의제(議題) - 영산줄다리기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2023 .02
민속의 한국어 문화교육적 활용 가능성 모색 :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23 .02
이까짓 축제
창비어린이
2020 .03
‘우리’는 축제야
자음과모음
2023 .09
축제의 날을 위해
월간에세이
2021 .06
기지시줄다리기 활성화를 위해고려해야 할 사항과 과제
무형유산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