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1. 머리말
2. 당산제와 줄다리기의 연원
3. 석포리와 내소사의 역사·지리적 위치
4. 朝鮮後期 邊山半島의 社會相과 來蘇寺
5. 朝鮮後期 來蘇寺 佛敎儀禮의 展開
6. 맺음말
참고문헌
<참고자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읍 지역 당산제 고찰
한국민속학
1995 .12
마을축제의 영상도식과 은유체계의 이해 : 전남 장성군 삼계면 생촌리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19 .03
광주, 전남의 당산제 연구(Ⅱ) : 영암군 시종면 월롱리 당산제의 전통과 변화
한국민속학
2000 .06
영산강 유역 줄다리기문화의 구조적 분석과 특질
한국민속학
2008 .11
동아시아권에서 줄다리기의 발생과 전개
비교민속학
2009 .04
1920년대 한국 전통줄다리기의 일본화와 지역적 전승
로컬리티 인문학
2020 .04
농어춘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09 .01
줄다리기에 관하여 : 韓日比較硏究의 一考察
한국민속학
1973 .10
동아시아 줄다리기와 한국 줄다리기의 유형과 계통 연구
역사민속학
2015 .07
줄다리기 성격의 지속과 변화 : 특히 근대 시기를 중심으로
실천민속학연구
2011 .02
고려시기 연등회의 운영과 추이
한국민족문화
2015 .02
우동리 당산제와 놀이의 특성
비교민속학
1994 .06
신앙
신학전망
1976 .03
줄다리기의 원형복원과 문화콘텐츠 활용방안 : 삼척 기줄다리기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2009 .04
三陟 기줄다리기에 대하여
한국민속학
1975 .12
기지시줄다리기와 공동체
민족문화연구
2015 .01
마을 공동체 신앙 어떻게 전승할 것인가
민속연구
2004 .02
제의명칭의 분포로 본 마을신앙 문화권 설정
한국민속학
2016 .11
마을신앙 연구의 검토와 지평 확대
민속연구
2005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