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청대의 漂流民 救助制度 형성
Ⅲ. 中國의 日本人 漂流民 救助와 送還
Ⅳ. 中國의 朝鮮人 漂流民 救助와 送還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전 근대 한국의 海難救助와 漂流民 구조 시스템
동북아역사논총
2010 .06
근대 조선과 일본의 해난구조제도와 국제관계
동북아역사논총
2010 .06
朝鮮後期 官撰史料를 통해 본 중국인 漂流 사건의 처리
도서문화
2015 .12
Repatriation of Koreans in Japan
Korea Journal
2004 .12
‘漂流’를 통해서 본 근대 한일관계 : 송환절차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
2003 .12
15~16세기 일본의 僞使와 조선인의 송환
동북아역사논총
2010 .06
漂海錄 硏究
비교민속학
1993 .06
15~19세기 표류 제주인의 출신지 휘칭(諱稱) 양상에 대한 고찰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6 .05
The Settlement and Repatriation of Koreans in Northeast China after Liberation
Korea Journal
2004 .12
李志恒 『漂舟錄』 속의 漂流民과 海域 세계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04
明清時代朝鮮飄流民的海上活動及海洋認知考察
독도연구
2019 .01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동북아역사논총
2014 .12
재일조선인 귀국(歸國)문제를 기억하는 문화적 방식 : 북한의 경우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6 .12
Forced Migration of Koreans to Sakhalin and Their Repatriation
Korea Journal
2004 .12
조선후기 강원도의 표류민 발생과 송환 : 1819년 안의기 일행 표류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5 .06
사할린한인 귀환문제에 대한 전후 일본정부의 대응
동북아역사논총
2014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