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강원도의 표류현황
3. 1819년 안의기 일행
4. 일본인과의 교류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후기 제주 표류민의 중국 표착과 송환 과정 — <제주계록(濟州啓錄)>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7 .01
18세기 초 일본의 조선 표류민 송환과 제주 감귤
도서문화
2024 .12
朝鮮後期 官撰史料를 통해 본 중국인 漂流 사건의 처리
도서문화
2015 .12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 과정− 표류 기록의 의미 요소 추출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5 .01
조선후기 일본 표류민(漂流民) 그림과 한글묵서에 대하여 - 예술의 전당 전시 <조선인일본표착서화(朝鮮人日本漂着書 ?)>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21 .08
조선 표류민의 유구 표착과 송환
열상고전연구
2015 .12
조선후기 경상도 주민의 일본 표착과 송환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2 .04
조선시대 표류를 통한 해외 정보의 수집과 활용의 추이
열상고전연구
2015 .06
조선후기 지세포에서 일어난 표착 사고 -구난을 대하는 쓰시마번의 태도-
한일관계사연구
2023 .11
『朝鮮漂流日記』(1819)에 나타난 표류왜인 호송과 접대 실태
한일관계사연구
2020 .11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강원도 하위방언구획 연구
우리말연구
2018 .01
15~19세기 표류 제주인의 출신지 휘칭(諱稱) 양상에 대한 고찰
지방사와 지방문화
2016 .05
조선 후기 부산에서의 표류일본인 접대- 『朝鮮漂流日記』(1819)를 중심으로 -
항도부산
2021 .08
『표해록』과 『하멜표류기』에 나타난 ‘표류’(漂流)의 서사적 상징의 의미
동서비교문학저널
2020 .12
조선후기 漂倭入送제도의 변화와 漂倭入送回謝差倭의 소멸 과정
서강인문논총
2024 .08
상평통보를 소지한 조선의 표류민과 대마도(1693-1862)
역사와경계
2016 .12
조선후기 표해록(漂海錄)에 담겨진 일본 관련 지식정보 -나가사키를 통해 유입된 정보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7 .01
강원도의 힘 외
자음과모음
2020 .12
동아시아 漂流敍事 序說― 동아시아 해양문화의 端緖로써
대동문화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