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조권중 (서울연구원) 최지원 (서울연구원)
저널정보
서울연구원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정책연구보고서 2009-40
발행연도
2009.12
수록면
1 - 244 (24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 new approach to the e-government is necessary while the information technology evolves into ‘ubiquitous’ technology.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new policy plans about the Information Society while it reorganized the Committee on National Information Strateg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MG) had led e-government policy involving advanced government services. Now, it is time that next the generation model of e-govern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Seoul facing transition to next term of mayor.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the new model of e-government for Seoul. While studying the national information plans such as the u-Korea Plan, the National Information Plan, the Next Generation e-Government Implementation Plan and the Ubiquitous City Integration Plan, this study suggests policy agenda and strategies for the e-government for Seoul. Also this study analyzes trends of information technology with framework of e-government consisting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 and public services. The next generation of e-government should be oriented for e-governance, efficient works and personalized ubiquitous services.
With this recognition of next model of e-Government,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licy recommendations. “Government with Citizen, Convenient Urban Life” is provided as a slogan for the vision of Seoul e-government. The next generation e-government should emphasize citizen empowerment, quality of public service, efficiency of urban management and the integration of information with regard to participation, service and information. Also the e-government policy should concord with the u-city policy for implementing the extended model of e-government. For the SMG, the role of information planning agency should be strengthened while recognizing e-government policy implementation as the innovation process of government.

목차

[표지]
[요약 및 정책건의]
[목차]
표목차
그림목차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체계와 방법
[제2장 정보화와 전자정부 계획과 정책 현황]
제1절 정보화 및 전자정부 추진 현황
제2절 서울시 전자정부의 성과와 지향
[제3장 해외사례 : 전자정부의 차세대 비전과 전략]
제1절 EU의 미래 전자정부 비전
제2절 미국의 IT기반 열린 전자정부 비전
제3절 일본의 미래정보사회 구현을 위한 전자정부 전략
제4절 대만의 미래사회 전자정부 전략
제5절 영국의 온라인 공공서비스 선진화 전략
[제4장 차세대 전자정부의 구성: 시민참여형 도시거버넌스]
제1절 전자정부와 시민사회의 변화
제2절 e거버넌스와 도시거버넌스
제3절 시민사회의 전망
[제5장 차세대 전자정부의 구성 : 대 시민 인텔리전트 유비쿼터스 서비스비전과 모형 제안]
제1절 정보기술 발전과 전자정부 서비스
제2절 전자정부 서비스의 진화
제3절 인텔리전트 유비쿼터스 서비스
제4절 전자정부 공공 서비스의 전망
[제6장 차세대 전자정부의 구성 : 네트워크 조직 및 프로세스]
제1절 정보화환경에 따른 정부조직의 변화
제2절 네트워크와 통합
제3절 프로세스 혁신
제4절 전자정부 조직의 전망
[제7장 차세대 전자정부의 구성 : 아키텍처와 인텔리전스]
제1절 정보기술 패러다임의 변화와 기술적 요구사항
제2절 아키텍처
제3절 인텔리전스 : 유비쿼터스 인프라 구축
제4절 전자정부 기술체계의 전망
[제8장 차세대 전자정부의 비전과 모형 제안]
제1절 정보화 전망과 차세대 전자정부의 비전
제2절 차세대 서울시 전자정부의 모형 제안
제3절 차세대 전자정부 구현을 위한 요소
[참고문헌]
[부록]
전자정부 주요 기술 관련 용어
[영문요약(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59-0010256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