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미정 (숭실대학교, 숭실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박종우
발행연도
2023
저작권
숭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6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8)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현대는 기존에 받아들여졌던 이론과 관행이 통하지 않을 수 있는 초불확실성의 시대, 즉, ‘대변화’의 시대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경영자의 리더십은 기업이 어려운 상황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 못지않게 경쟁력 확보가 필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관계에서 심리적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각 하위 변인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시한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분석을 위해 국내 기업 중 300명 이상의 기업에 근무하는 구성원 4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개의 특징이 도출되었다.
첫째, 코칭리더십은 혁신행동,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열의에 대한 정(+)의 영향을 주었으며, 각 하위 요소는 이와는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혁신행동과 직무열의에,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코칭리더십의 모든 하위 요소가 혁신행동으로 가는 경로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직무열의는 코칭리더십이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하위 요소 중 역량개발, 수행평가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다섯째,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순차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서 기업의 경쟁력 제고와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전략적 방향성으로 코칭리더십의 필요성을 제공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코칭리더십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열의와 심리적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코칭리더십으로부터 구성원의 심리적 태도와 혁신적 행동변화를 설명하는 메카니즘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확인하지 못한 코칭리더십의 하위 요소들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혁신행동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기존의 매개효과를 논의한 선행연구에서는 밝히지 못한 경로인 코칭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열의를 통해서 혁신행동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리더십의 모든 하위 변인이 혁신행동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중에서도 상사와 구성원 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밝혀졌다. 이는 코칭리더십에 대한 메뉴얼에서 하위 요소를 다르게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심리적인 변화를 통해 혁신행동으로 이어진다는 동기부여 측면의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이는 기업의 리더들이 코치형 리더로 육성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1
1.2 연구의 목적 5
1.3 연구의 방법 및 구성 6
1.3.1 연구의 방법 6
1.3.2 연구의 구성 7
제 2 장 이론적 배경 9
2.1 코칭리더십 9
2.1.1 코칭의 개념 9
2.1.2 코칭의 학문적 배경 11
2.1.3 코칭리더십의 정의 13
2.1.4 코칭적리더십의 하위 구성 요소 17
2.1.5 코칭리더십에 관한 선행연구 20
2.2 혁신행동 25
2.2.1 혁신행동의 정의 25
2.2.2 혁신행동의 구성 요소 31
2.2.3 혁신행동에 관한 선행연구 33
2.3 심리적 임파워먼트 37
2.3.1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정의 37
2.3.1.1 의미성 42
2.3.1.2 역량개발 43
2.3.1.3 자기결정성 43
2.3.1.4 영향력 44
2.3.2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관한 선행연구 46
2.4 직무열의 54
2.4.1 직무열의의 정의 54
2.4.2 직무열의에 관한 선행연구 56
제 3 장 연구설계 58
3.1 연구모형 58
3.2 연구가설의 설정 59
3.2.1 코칭리더십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 59
3.2.2 코칭리더십과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관계 62
3.2.3 코칭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 67
3.2.4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관계 73
3.2.5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혁신행동의 관계 75
3.2.6 직무열의과 혁신행동의 관계 77
3.2.7 심리적 임파워먼트, 코칭리더십, 혁신행동 간의 관계 78
3.2.8 직무열의, 코칭리더십, 혁신행동 간의 관계 83
3.3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8
3.3.1 코칭리더십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9
3.3.2 혁신행동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89
3.3.3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90
3.3.4 직무열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 도구 90
3.4 연구 분석 방법 94
제 4 장 실증분석 95
4.1 표본 선정 및 자료 수집 95
4.1.1 표본의 선정 95
4.1.2 자료의 수집 95
4.2 표본의 일반적 특성 96
4.2.1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6
4.2.2 표본의 기술통계 100
4.2.3 상관관계 분석 101
4.3 측정모형의 검증 102
4.3.1 측정모형의 적합성 검증 102
4.3.2 집중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106
4.3.3 판별타당성 검증 108
4.4 구조모형의 적합성 검증 109
4.5 연구가설 검증 110
4.5.1 가설검증(전체표본) 110
4.5.2 간접효과분석 113
제 5 장 결론 117
5.1 연구 결과의 요약 117
5.2 연구의 시사점 122
5.2.1 학문적 시사점 122
5.2.2 실무적 시사점 125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126
참고문헌 128
부 록 16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