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김미정 (삼육대학교, 삼육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고명숙
발행연도
2020
저작권
삼육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8)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폭넓게 이해하기 위하여 Price와 Mueller의 이직의도 구조모형 틀을 기초로 간호근무환경,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부산에 소재하는 500병상 미만 종합병원에 재직 중인 임상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293명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3월 31일부터 4월 10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은 확인적 요인분석(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요인분석모형과 분석 자료의 적합도 검증은 , CFI(Comparative Fit Index), TLI(Tucker-Lewis Index), RMSEA (Root Mean Square Error Approximation)로 확인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간호근무환경과 공유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와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의미하게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하위척도인 조직적합성이 완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하위척도인 조직연계가 완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하위척도인 조직희생이 완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근무환경과 직무배태성의 조직연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5. 직무배태성의 조직연계와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6. 간호근무환경과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7.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배태성의 조직적합성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8.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9.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조직적합성이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이 부분 매개하여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 공유리더십이 직무배태성의 조직적합성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12. 공유리더십이 직무배태성의 조직희생을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에 의해 조절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직무배태성은 간호근무환경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였고, 공유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간호근무환경을 변화시키는 것만으로 이직의도를 감소할 수 없으며, 책임과 권한을 역동적으로 나누는 팀 환경을 조성하며 직무배태성을 증진시키는 관리전략을 마련하고,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을 위한 전략 및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즉, 의료기관 및 간호조직의 목표와 간호사 개인의 직업적 목표를 합치시키고 직무능력을 잘 활용하며 충분한 보상과 승진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간호사를 위한 효과적인 인력관리제도를 시행하고, 리더십의 기능이 조직구성원들 사이에 분산된 구조를 만들고 조직구성원들은 그들이 성과에 대해 궁극적으로 책임을 져야 함을 인지하고, 각자의 리더십 역량을 발전시키기 위해 솔선수범하고 다른 조직구성원의 리더십도 촉진하며, 동료들과 원활한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공식적·비공식적 연결망을 구축해 주는 의료기관 차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임상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 향상은 궁극적으로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기여함을 고려해 볼 때, 간호조직의 관리자는 간호사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지원 및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극적인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목차

목 차
목 차 ⅸ
표 목차 xii
그림목차 xiv
부록목차 xv
국문초록 xvi
Ⅰ.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5
C. 용어의 정의 5
Ⅱ. 문헌고찰 9
A. 이직의도 9
B. 이직의도 관련 변인 13
C. 간호근무환경, 공유리더십, 직무배태성, 긍정심리자본의 관계 22
Ⅲ. 본 연구의 개념적 틀 27
A. 연구모형 27
B. 연구가설 29
Ⅳ. 연구방법 34
A. 연구 대상 34
B. 연구 도구 35
C. 자료 수집방법 38
D. 윤리적 고려 39
E. 자료 분석방법 39
Ⅴ. 연구결과 41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41
B. 측정변수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43
C. 간호근무환경, 직무배태성, 긍정심리자본, 이직의도와의 관계 51
1.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51
2.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54
3.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66
D. 공유리더십, 직무배태성, 긍정심리자본, 이직의도와의 관계 75
1.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75
2.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78
3. 긍정심리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 81
Ⅵ. 논의 91
1. 간호근무환경, 직무배태성, 이직의도 및 긍정심리자본의 관계 92
2. 공유리더십, 직무배태성, 이직의도 및 긍정심리자본의 관계 98
Ⅶ. 결론 및 제언 102
참고문헌 105
ABSTRACT 117
부 록 122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