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박선우 (경희대학교, 경희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윤혜현
발행연도
2018
저작권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6)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세계적으로 기업 간 경쟁이 증폭되는 가운데 변화에 적합한 조직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의 성장 동력으로써 핵심적 역할을 하는 인적자원에 대한 동기 부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높은 이직률, 장기적 경기침체 등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식기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인 인적자원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외식기업의 조직문화가 종사원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변화된 종사원의 태도와 행태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구체적으로 조직, 종사원, 고객의 차원을 통합할 수 있는 다수준분석을 통하여 조직수준의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종사원수준의 긍정심리자본, 개인 창의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종사원수준의 변수들이 고객의 참여행동과 시민행동을 유발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각 수준 변수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각 차원 변수들 사이에서 개인 창의성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다수준분석을 위해서는 상위수준 분석대상 표본수가 30이상이어야 하는 점을 감안하여 국내에서 운영 중인 30개의 대형 외식업체를 선정하였으며, 일대일 대면 접촉을 통해 고객서비스를 담당하는 1년 이상 근무 중인 종사원과 해당 종사원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수준의 혁신지향 조직문화는 종사원수준의 긍정심리자본, 개인 창의성, 조직몰입과 모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종사원수준의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은 모두 유의한 긍정적 영향관계에 있었다.
셋째, 종사원수준의 조직시민행동은 고객수준의 고객참여행동, 고객시민행동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의 관계 또한 긍정적인 영향관계에 있었다.
넷째, 조직수준의 혁신적 조직문화와 종사원수준의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유의한 매개역할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 사이에서 조직몰입,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사이에서 개인 창의성, 조직몰입과 고객참여행동 사이에서 조직시민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주요 시사점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인 조직 차원과 종사원 태도 간 관계를 과도하게 단순화시키는 문제,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종사원 차원과 고객 차원으로 조사대상을 달리하였으며, 기존의 실증적 분석의 한계를 벗어나 다차원 모델을 통한 통합적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조직, 종사원, 그리고 고객 사이의 상호작용을 보다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둘째, 경영학이나 인사관리 영역에서 주요하게 다뤄졌던 조직문화 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서비스 기반의 외식기업에 적용하여 외식기업 종사원의 인식을 통해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학제 간 연구에 확장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외식서비스 상황을 충분히 반영한 고객가치공동창출에 대한 측정항목을 설정하였기 때문에 외식관련 학계에서 기존의 다른 서비스 조직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사용된 개념을 적용하는 것에 비해 보다 정확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실증자료를 제시하였다.
넷째,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 시작 단계인 다수준 접근을 통해 조직몰입, 개인 창의성,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외식기업의 인적관리 핵심적 이슈인 매개효과의 연계 고리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섯째,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외식기업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립하기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실무적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제 1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배경 및 문제제기 1
제 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5
제 3절 연구의 방법 및 대상 9
1. 연구 방법 9
2. 연구 대상 10
3. 연구의 구성 10
제 2장 이론적 배경 12
제 1절 혁신지향 조직문화 12
1. 조직문화의 개념 12
2. 조직문화의 유형 16
3. 조직문화의 선행연구 22
4. 혁신지향 조직문화 연구의 의의와 선행연구 25
제 2절 종사원 태도 28
1. 긍정심리자본 28
1.1.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28
1.2. 긍정심리자본의 선행연구 33
2. 개인 창의성 35
2.1. 개인 창의성의 개념 35
2.2. 개인 창의성의 선행연구 38
3. 조직몰입 40
3.1. 조직몰입의 개념 40
3.2. 조직몰입의 선행연구 42
4. 조직시민행동 43
4.1. 조직시민행동의 개념 43
4.2. 조직시민행동의 선행연구 46
제 3절 고객가치공동창출 49
1. 고객참여행동의 개념 49
2. 고객시민행동의 개념 52
3.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의 선행연구 55
제 3장 연구의 설계 57
제 1절 연구의 모형 57
제 2절 연구의 가설 58
1.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긍정심리자본 58
2.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개인 창의성 59
3.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조직몰입 61
4.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 62
5.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 64
6.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참여행동 65
7. 조직시민행동과 고객시민행동 67
8.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 68
9. 혁신지향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70
10. 긍정심지자본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72
11. 긍정심지자본과 조직몰입 간의 개인 창의성의 매개효과 73
12. 조직몰입과 고객참여행동 간의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76
제 3절 측정도구 78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78
2. 설문지 구성 86
제 4절 자료의 수집 및 분석 89
1. 조사 대상 및 조사 방법 89
2. 분석 방법 91
제 4장 실증분석 93
제 1절 표본의 특성과 측정항목의 기술분석 93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93
2. 측정항목의 기술 통계분석 96
제 2절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99
1. 확인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99
2. 단일응답자 편차 검증 103
3. 조직수준 변수 측정의 타당성 분석 104
제 3절 연구가설의 검증 106
1. 상관분석 106
2. 기초모형분석 107
3. 연구모형분석 112
3.1. 혁신지향조직문화, 긍정심리자본, 개인창의성, 조직몰입의 관계 114
3.2. 긍정심리자본,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117
3.3. 조직시민행동, 고객참여행동, 고객시민행동의 관계 117
3.4. 조직몰입, 개인 창의성,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122
제 5장 결론 128
제 1절 연구결과 요약 128
제 2절 연구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 133
1. 학문적 시사점 133
2. 실무적 시사점 135
3. 연구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38
참고문헌 140
APPENDIX(설문지) 184
ABSTRACT 19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