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Park So Jeong
저널정보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Vol.30
발행연도
2018.8
수록면
105 - 128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自朝鮮世宗大王(1418-1450在位)統治時期的儒家儀式音樂改革以來,韓國人繼承了儒家音樂敎育的悠久傳統。然而,世宗大王的儒家儀式音樂重構不僅僅是對原始儒家儀式音樂的修復,更是對傳統儒家價値觀勇敢的重新解讀。中國和韓國之間語言和文化的巨大差異,不允許朝鮮知識人對中國主流文化不加批判的同化。這些因素也促使世宗大王爲韓國本土音樂開發了一種新的樂譜系統――這種系統以前被認爲是粗俗的,隨後將新組合的儀式音樂帶到宮廷。對韓國音樂文化的自覺和認同意識,使得朝鮮以及韓國人幷非盲目地模倣中國音樂,而是體現出儒家音樂敎育精髓的理想方式,卽音樂感性的培養和“與民同樂”。這是在文化邊界發現的原創性。朝鮮宮廷音樂的矛盾性質,與從高麗王朝(918-1392)發展到朝鮮王朝(1392-1897)的韓國新儒學有密切相關。隨著朝鮮新王朝的出現,儒家價値觀的不斷融化和內化,逐漸發展成爲新統治階級,幷作爲從統治階級到庶民最具影響力的道德基礎。此外,這種文化邊界的創造力也再次出現於朝鮮王朝邁向現代韓國的過渡期中。在韓國的近代化時期,西方和韓國音樂文化之間的衝突和重建,展現了文化邊界的原創性,也影響了韓國當代音樂敎育。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151-24-02-0903438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