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목표 :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은 관광 활성화를 통하여 관광 선진국, 관광 강국을 넘어 관광 부국 및 관광 자립국의 위치를 지향하고 있다는 전제를 연구의 배경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내 해양관광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접근 전략의 하나로 지속 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활성화에 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나아가서 국내 해양 스포츠 관광에 대한 가치 정립과 공감대 확산, 그리고 관련 기초 자료 제공을 이차적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전개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연구 방법으로는 해양관광, 해양 스포츠 관광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고찰하는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관련성 및 유사성이 높은 연구 및 학위 논문, 정책 보고서와 각종 자료 및 문헌 등의 분석과 고찰을 통해 논문의 이론적 전개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해양 스포츠 관광활성화를 위한 관련 연구내용과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해양 스포츠 관광의 특성과 국내·외 사례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지속 가능한 해양스포츠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할 수 있겠다. 첫째, 지속 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활성화를 위해 국내 해양 스포츠 관광자원 개발에 관한 중·장기 로드맵과 정책 등을 포함하는 마스터플랜의 수립과 추진방안 모색이 요청된다. 둘째, 지속 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활성화를 위한 권역별 맞춤형 및 거점형 관광 클러스터 조성이 요청된다. 셋째, 지속 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활성화를 위한 관련 시설과 숙박ㆍ위락편의 시설, 그리고 각종 지원 시설 등의 정비 및 확충 방안 모색이 요청된다. 넷째, 지속 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개발과 발전을 위해서는 관광, 스포츠, 역사, 문화 콘텐츠 등의 융합형 전문 인력 양성방안 모색이 요청된다. 다섯째, 지속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개발 및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행정 및 재정적 지원방안 모색이 요청된다. 여섯째, 지속가능한 해양 스포츠 관광 활성화를 위해 관련 지방정부와의 마케팅 및 정책 등의 효율적 연계전략 추진방안 모색이 요청된다.
Background/Objectives : This study set the premise that Korea is currently aiming for the position of a tourism rich country and a tourism independent country beyond a tourism developed country and a tourism powerhouse through tourism revitaliz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t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on the revitalization of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as one of the step-by-step approaches to revitalizing domestic marine tourism.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establishment of values for domestic marine sports tourism, the spread of consensus, and the provision of related basic data as secondary research purposes. Methods : As a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 literatur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and considers related prior studies focusing on keywords such as marine tourism and marine sports tourism was applied. Specifically, the theoretical development of the paper was applied through analysis and consideration of research and degree papers, policy reports, and various data and literature with high relevance and similarity.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esent related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results to revitalize marine sports tourism. Findings :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make policy suggestions for revitalizing marine sports tourism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evitalize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it is requested to establish and promote a master plan that includes mid- to long-term roadmaps and policies o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marine sports tourism resources. Second, the creation of customized and base-type tourism clusters for each region is required to revitalize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Third, it is requested to find ways to maintain and expand related facilities, accommodation and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various support facilities to revitalize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Fourth, in order to develop and develop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foster convergent professionals such as tourism, sports, history, and cultural content. Fifth, in order to develop and develop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it is required to seek relat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s. Sixth, in order to revitalize sustainable marine sports tourism, it is required to find ways to promote efficient linkage strategies such as marketing and policies with related local gover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