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들어가며
2. 〈명동에 밤이 오면〉의 검열과 표절 문제
3. 표절과 번안 혹은 똑같은 것과 달라진 것
4. 나가며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일한 영화 〈아내는 고백한다〉의 관계성 분석: 표절과 번안의 문제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2 .09
교육영화란 무엇인가 : 교육영화의 개념과 수용
씨네포럼
2015 .12
일본의 영화 산업과 독립영화 생태계
아시아영화연구
2019 .01
일본에서의 한국영화 수용과 이장호 영화의 효과
씨네포럼
2022 .12
‘영화연구’를 말한다
영화연구
2024 .06
『영화연구』 제100호에 부쳐
영화연구
2024 .06
『영화연구』 103호 특집논문을 엮으며
영화연구
2025 .03
영화법 이전 반공영화 표상의 불균질성 : 한국전쟁에 대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1 .03
1980년대 비제도권 영화운동의 이론과 실천-영상 매체의 민주화와 (급진적) 재발명-
현대영화연구
2018 .01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영상문화콘텐츠연구
2019 .02
이미지와 언어를 통합하는 영화의 프레임 : 프레임의 이중성: 현실과 상상
미술문화연구
2017 .06
동시대 한국 여성주의 다큐멘터리 영화에 나타난 재현 전략: 〈우리는 매일매일〉, 〈박강아름 결혼하다 〉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2022 .03
국내 다양성영화 포스터의 시각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 롤랑바르트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5 .03
한국영화사에서 서양의 문예(文藝)는 무엇이었는가?
영화연구
2020 .12
중국 개혁개방 시기 일본영화의 문화적 수용
영화연구
2025 .03
스토리를 기반으로 한 한류영상콘텐츠 개발연구 : 중국영화를 중심으로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15 .03
조선영화의 실천과 ‘환상’의 문제
영화연구
2015 .03
국가가 시장을 지배했을 때: 1970년대 중후반 우수영화-외화수입쿼터 커넥션과 한국영화
영화연구
2023 .06
태양계에 비유한 1990년대 한국영화 지형: 밈(meme) 개념으로
현대영화연구
2022 .02
한국영화 DB를 활용한 역사교육의 가능성 :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씨네포럼
2015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