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다희 (아주대) 신현주 (아주대) 차희성 (아주대)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논문집 大韓建築學會論文集 第38卷 第1號(通卷 第399號)
발행연도
2022.1
수록면
253 - 263 (1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During a fire, it is of utmost importance to provide reliable building information and secure a fire response system for proper and safe evacuation of building occupants. Every building offers different and changing fire/building information. So for building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pgrade to an integrated 3D/BIM linked fire response system. The purpose of this upgrade to the 3D/BIM model is not solely because of the solid design, but more so for its usability and visuals to quickly extract needed building information in an emergency. In suggesting this method, the aim is to better secure a quick response from fire personnel and provide essential building information for evacuation and rescue to save liv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화재대응시스템 현황 분석
3. 선행연구조사
4. 화재정보 활용 및 시각화 체계 구축방안
5. 사례적용
6.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2-540-00020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