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소현 (빌딩스마트협회) 한지수 (빌딩스마트협회) 조찬원 (빌딩스마트협회)
저널정보
(사)한국CDE학회 한국CDE학회 논문집 한국CDE학회 논문집 제23권 제3호
발행연도
2018.9
수록면
285 - 297 (13page)
DOI
10.7315/CDE.2018.285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ecently,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come larger, more complex, and more sophisticated, efficient use of construction information has become important. Therefore,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existing 2D drawing work, integrating information using 3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arrying out complete construction work. In order to achieve this, a common promise is required between each stage and each field of the building work, and a detailed plan for establishing Building information level (BIL) as a whole viewpoint and sharing and utilizing concrete information among the respective bodies is needed. In this study, the BIM-based building process is established by establishing the Building information level reflecting the design process according to the domestic situa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centered on the design stage and clearly defined division of labor and environmen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BIL수립을 위한 요구정보 검토
4. 실무형 BIL 프로세스 및 활용 방안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1)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530-003399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