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서은숙 (동국대학교) 박균열 (경상국립대학교) 박창식 (진주중학교)
저널정보
아시아문화학술원 인문사회 21 인문사회 21 제12권 제3호
발행연도
2021.1
수록면
2,191 - 2,200 (1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한국의 도덕교과에서 다문화의식 평가 및 측정 연구*서 은 숙**ㆍ박 균 열***ㆍ박 창 식**** 요약: 이 논문은 대한민국의 도덕교과에서 다문화의식 평가 및 측정 방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대한민국은 이미 5%를 상회하는 다문화배경의 인구 분포를 가진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이런 상황에서 다문화와 가장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는 도덕 교과에서 어떻게 다문화교육의 평가 및 측정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를 탐구한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평가 및 측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현행 도덕교과의 교육과정은 실제 작동가능하고 측정가능한 역량을 홀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적절한 대안으로 도덕 판단역량 측정도구(MCT)를 활용한 방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MCT는 현행 역량 중심의 2015교육과정과 그 이후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기본철학을 담을 수 있는 방법론이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설계와 달리 도덕적 핵심역량을 전면에 배치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계획-준비-실시-평가라는 교육활동의 연계성과 체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핵심어: 도덕교육, 다문화교육, 다문화 역량, 도덕 판단역량 측정도구, 교육과정 □ 접수일: 2021년 5월 28일, 수정일: 2021년 6월 20일, 게재확정일: 2021년 6월 20일*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C2A04092485). ** 주저자,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guk Univ., Email: ses87@dgu.ac.kr)*** 공동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Co-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pgy556@daum.net)**** 교신저자, 진주중학교 교사(Corresponding Author, Teacher, Jinju Middle School, Email: ethicguy@hanmail.net)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