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비자교육 분야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소비자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국내 최초의 소비자교육 연구가 시도된 1982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소비자학 관련 학회지인 소비자학연구, 소비문화연구, 소비자정책교육학회지, 대한가정학회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한국생활과학회지, 그리고 한국소비자원에서 발간하는 소비자문제연구에 수록된 논문 총 355편이다. 분석방법은 텍스트 마이닝의 토픽모델링을 통한 양적 분석과 토픽별 관련 연구의 심층적 이해를 위한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국내 소비자학연구의 연구영역(토픽)과 점유율은 학교교과분석(21.9%), 프로그램개발(17.1%), 아동․청소년 소비행동 변인(16.9%), 친환경소비(12.9%), 재무․금융(11.0%), 소비자문제․정책(10.5%) 그리고 소비자역량(9.9%)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영역(토픽)별 핵심 키워드 12개와 기간별 점유율 변화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시기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1980년대는 소비자교육의 태동기로 소비자교육이 개념적 체계를 설정하였다. 1990년대는 대내적으로는 소비자교육이 소비시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강조되고, 대외적으로는 지속가능성장에 대한 관심이 모아진 시기였으며, 친환경소비와 아동․청소년의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2000년대는 학교에서의 소비자교육이 안착되며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거나, 현장에서 활용될 소비자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증가하였고, 국내외적 경제위기가 뒤따르며 재무․금융교육에 대한 수요에 힘입어 해당 분야에 대한 다수의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마지막으로 2010년대에는 연구영역별 점유율의 차이가 가장 낮아 다양한 분야의 균형적 연구가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시장 환경의 변화속도가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소비자역량 지표 개발에 대한 필요성 증대로 소비자의 역량체계수립을 위한 연구의 비중이 점차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추세이다. 향후 소비자역량 기반의 소비자교육, 변화된 소비자 개념을 반영한 소비자교육, 아동․청소년 소비자를 위한 학교 소비자교육의 강화, 기업이 주도하는 소비자교육의 촉진전략 변화, 교육 수요자 중심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 설계 등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on consumer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sumer education research that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Since the first study started in 1982 until 2019, 355 papers were included in Journal of consumer studies,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and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published by the Korea Consumer Agency. The method of analysis was bot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topical modeling of text mining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related research by topic.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topic modeling, the research area(topic) and market share of consumer studies in Korea were school curriculum analysis(21.9%), program development (17.1%), child and youth consumption behavior variables(16.9%), eco-friendly consumption (12.9%), finance(11.0%), consumer problems and policies(10.5%), and consumer competency (9.9%). Second,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12 key words for each research area (topic) and the change in market share over time and looked at research trends by time. In the 1980s, consumer education established a conceptual system as the beginning of consumer education. In the 1990s, the positive influence of consumer education on the consumer market was emphasized internally, and the focus was on sustainable growth externally, and research was focused on factors affecting eco-friendly consumption a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2000s, consumer education in schools was settled, and research on analyzing the contents of school curricula or developing consumer education programs to be used in the field increased, and a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basis of demand for financial education following the economic crisis at home and abroad. Finally, in the 2010s, the difference in market share by research area was the lowest, indicating that balanced research in various fields was conducted. In addition, as the pace of change in the consumer market environment accelerates, the proportion of research to establish a competency system for consumers is gradually increasing due to the need to develop new consumer competency indicators. In the future, research on consumer competency-based consumer education, consumer education reflecting changed consumer concepts, strengthening school consumer education for child and youth consumer, changing the corporate-led strategy for promoting consumer education, and designing programs centered on education consumers should be continu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