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중앙기관지 『아동문학』의 구성과 아동 참여의 실태
3. 아동 글쓰기에 내면화된 북한의 정치이데올로기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인훈 비평에서의 관념 비판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2022 .12
中國“十七年”時期北韓文學譯介硏究
중국문화연구
2019 .11
선군사상에 대한 전통사상의 영향
통일인문학
2018 .12
Political Consumerism as Political Participation in Korea: The Influence of Anti-Business Sentiments, Political Ideology, and Social Media
Korea Observer
2021 .12
문학비평의 사회적 실천을 향하여 - 이데올로기 이론으로 텍스트를 비추어 봄
영어영문학
2017 .01
希樂堂 金安老의 文章觀과 學問 興起論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7 .01
아동문학 사전 『100개의 키워드로 읽는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연구 - 영미 아동문학 사전 Keywords for Children's Literature 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연구
2024 .07
한국 동시문학의 기원과 동시문학사의 필요성
한국아동문학연구
2018 .06
아동문학의 치유공간에 대한 고찰 : 어른독자 관점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7 .09
Идеологическая база политического дискурса
러시아학
2018 .01
Language Ideologies in the Early English Education Policy in Korea: A Sociohistorical Perspective
영어영문학
2020 .02
조선후기 한문학과 童蒙[아동]의 관련 양상-동몽의 작중 형상에 중심을 맞추어-
韓國古典硏究
2020 .01
『창작과비평』과 아동문학이 만나는 들머리 - 창비와 아동문학의 교섭 양상에 대한 소고(小考) -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24 .06
초등영어 교사의 영미 아동 문학에 대한 인식 및 활용 실태
초등영어교육
2018 .01
안데르센 동화에 나타나는 잔인성, 선정성, 폭력성, 그리고 추상적 개념에 대한 완역본과 아동도서 간 비교 ―『미운 오리 새끼』와 『인어 공주』를 중심으로
T&I REVIEW
2016 .06
網絡文學—意識形態內的權力鬪爭
중국어문학논집
2022 .04
아동문학과 감각의 기술
한국아동문학연구
2017 .12
해방기 남북한의 아동담론과 아동문학 텍스트의 상관성 연구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016 .12
유령을 위한 레시피-그레이스 M. 조의 『전쟁 같은 맛』을 통해 본 한국계 미국인의 한국전쟁 기억과 재현
인문논총
2024 .02
Strategically Adopting or Resisting Monolingual Perspectives: Chinese pre-service EFL Teachers’ Agentic Negotiation of Ideologies of the English Language
영어영문학연구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