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문제
2. “1809년 濟州島漂船廢鐵 송환사건”의 시말
3. 漂物燒火之法과 人臣無外交
4. 결어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華夷의 交流와 漂流 : “1809년 濟州島漂船廢鐵 송환사건”을 중심으로
역사학보
2018 .06
交流와 會通, 一統과 同和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9 .11
論語 木簡을 통해 본 東아시아 文化 交流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20 .09
고려후기 ‘자신을 夷로 간주하는 화이의식’의 탄생과 내향화 - 조선적 자기 정체성의 모태를 찾아서 -
민족문화연구
2017 .01
慶州 佛國寺三層石塔 收拾 鐵片의 材料學적 硏究
문화사학
2018 .12
황당선의 출현과 조선의 대응 : 가정 왜구의 한반도 침공(을묘왜변: 1555년)의 역사적 전제
일본문화연구
2018 .01
표류하는 신발 외 1편
시조시학
2015 .12
『표해록』과 『하멜표류기』에 나타난 ‘표류’(漂流)의 서사적 상징의 의미
동서비교문학저널
2020 .12
조선시대 표류노드 시각망 구축 과정− 표류 기록의 의미 요소 추출을 중심으로 −
온지논총
2015 .01
나의 제주일지
월간에세이
2023 .01
[제주] 폭삭 속았수다, 제주
트래비 Travie
2025 .05
월트 휘트먼의 작품에 나타난 해양 풍경 : ‘포마녹’에 관련된 바다와 섬의 일체성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6 .10
조선 표류민의 유구 표착과 송환
열상고전연구
2015 .12
조선후기 강원도의 표류민 발생과 송환 : 1819년 안의기 일행 표류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5 .06
수상 소감_박도표
창비어린이
2017 .09
고려시대 八關會를 통한 국제교류
남도문화연구
2015 .12
1876년 제1차 수신사를 통한 한일 의학교류 - 우두법을 중심으로 -
일본문화연구
2022 .04
『조선표류일기』의 회화자료에 대하여
동북아역사논총
2019 .06
조선시대 표류를 통한 해외 정보의 수집과 활용의 추이
열상고전연구
2015 .06
표류하는 수도권 매립지 논란
황해문화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