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대통령 탄핵과 그 역사적 의미
국대안 파동, 이념 투쟁, 민주주의 부정
한국의 사립대학과 국가의 통제
사립대학의 예외적인 혹은 전형적인 사례, 영남대의 경우
지역과 대학주권의 소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대학권력·국가권력·시장권력으로 본 대학 100년의 역사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18 .05
인터넷 규제 방향에 대한 논의 : 국가와 인터넷 주권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11
글로벌시대 주권과 인권에 대한 이해(理解)의 변화와 양자의 관계 정립
공법학연구
2017 .08
국가권력과 국가권력의 정당성 성립에 대한 고찰 ― 헌법 이론과 헌법상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
법학연구
2024 .06
跨???犯罪的??法?制?究??以??公?、管??、?法?范??角
고려법학
2020 .01
휘튼의 『만국공법』과 오펜하임의 『국제법』에 나타난 국가, 주권, 그리고 반주권국가
아세아연구
2023 .09
대학 밖의 권력과 대학 안의 적폐
대학: 담론과 쟁점
2017 .04
[특별 기고] 이종찬 광복회 회장이 바라본 ‘1948년 건국론’ 논쟁_“권력 빼앗겼다고 나라가 사라진 건 아니었다”
월간중앙
2023 .11
주권화폐란 무엇인가? ― 주권화폐를 의제에 올려야 하는 이유와 주권화폐제도가 갖출 모습
월간 시대
2020 .06
‘여당 내 야당’ 각인시킨 허은아 국민의힘 의원_“나는 권력 앞에서도 ‘아니요’라고 말한 사람”
월간중앙
2023 .03
근대 한국 주권 개념 연구
21세기정치학회보
2017 .06
[Book] 권력의 심리학 : 권력 부패를 낳는 ‘나쁜 국가’의 비밀
매경이코노미
2022 .02
대한민국의 건국 시기에 대한 논쟁의 재조명: 이중 주권론의 시각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2022 .03
자치분권 원리로서 ‘주민주권’의 이론적 토대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한국행정연구
2020 .01
권력의 개념과 권력론의 구조 - 루크스, 루만, 라스웰의 권력론 비교 -
법이론실무연구
2021 .05
한국의 국가권력과 사회주의 운동
노동사회과학
2015 .06
이민정책ㆍ출입국관리 행정에서 논의되는 주권개념 고찰
법학연구
2023 .06
데이터 주권과 데이터 보호에 관한 새로운 접근 - 미국과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법이론실무연구
2023 .02
권력에 의한 국가 폭력에 관하여
고려법학
2023 .03
국가권력의 온라인 감시 정책의 위험성
KISO 저널
2020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