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Holland 성격유형과 대뇌반구 지배적특성 및 직업가치와의 관계분석에 대한 연구로서, 개인의 진로능력을 맥락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광역시와 지방대도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3곳의 학생 97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4가지 설정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win18.0을 사용하였으며, 신뢰성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성격유형별 고등학생의 대뇌반구 지배적 특성은 관습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다른 유형은 기각되었다. 둘째, Holland직업성격유형에서 현실형을 제외하고 내재적 직업가치가 외재적 직업가치 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습형은 차이가 검증되지 않았다. 셋째, 좌반구는 현실형?탐구형?관습형(RIC) 군집이 그 외 군집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반구는 기각되었다. 넷째, 현실형?탐구형?관습형(RIC) 군집과 사회형?예술형?진취형(SAE) 군집에서 직업가치의 차이는 기각되었다. 다섯째, Holland 성격유형별 대뇌반구지배적 특성, 직업가치 간에 상관관계 분석 결과, 좌반구는 예술형, 우반구는 관습형 등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에서 상관을 나타냈으며, 내재적 가치는 관습형, 외재적 가치는 예술형과 사회형 등을 제외한 다른 변인에서 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Holland personal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a cerebral hemisphere dominant feature and work value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a cerebral hemisphere dominant feature and work values depending on Holland personality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The study is targeted 978 high school-students who live in metropolitan cities. To examine the hypothe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win 18.0 were conducted. The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 school student except for conventional type, the appeared more conspicuous in the right-brain-dominant feature than left-brain-dominant feature in Holland personality types, and the conventional type showed more outstanding left-brain-dominant feature.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investigative type. Second, internal work values in Holland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appeared more conspicuous than external work values in most typ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nterprising type. Third, realistic, investigative, conventional groups appeared more conspicuous in terms of left-brain-dominant feature than other groups, and right-brain dominant-feature showed no differences in all types. Fourth, realistic, investigative, conventional groups appeared more outstanding in external work values than other groups, but there is no differences in internal work values. Fifth, there are positively conspicuous differences in a cerebral hemisphere dominant feature and internal work values,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external work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