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이국주 (고용개발원) 김현종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저널정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세미나·토론회 2008 EDI 연구과제발표회
발행연도
2008.12
수록면
195 - 283 (8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conducted by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Center of Korea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KEPAD). The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bility - visual, hearing, cerebral palsy, and mental illness.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a training system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the specific disability such as training instruments, methods, trainers and facilities.
Success rate of attaining jobs after training, average wage, and retention period were used as indicators on analyzing the training effec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train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eople with disability who participated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had a better chance of gaining employment, receiving higher wages, and staying longer with their jobs than people who participated in regular training. This illustrates that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is effective. Based on the results, specialized vocational training need to be increased and professional support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목차

[목차]
[Abstract]
[연구요약]
[제1장 서론]
제1절 문제제기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직업능력개발센터 장애유형별 특화훈련 현황
제2절 장애인 직업훈련 효과
제3절 선행연구 분석
[제3장 연구방법]
제1절 조사대상
제2절 변수의 정의 및 측정
제3절 자료 분석 방법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제1절 분석대상자 일반적 특성
제2절 효과분석 결과
제3절 논의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36-0005336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