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황선웅 (경기대학교, 경기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최병정
발행연도
2022
저작권
경기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3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고강도 H형강 기둥의 화재 후 내진성능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기존연구(Choi et al.,2013;Chen et al.,2014)의 실험값을 바탕으로 유한요소해석 해석방법을 검증하였으며,검증된 유한요소해석 해석방법을 통해 다변수 해석(parametric study)을 수행한 연구이다.
강구조 건축물은 높은 강도와 연성을 가지고 있어 고층 및 대형건축물에 주로 사용된다.하지만 강재는 400℃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면 급격하게 강도가 감소하며,냉각 후에도 100% 강도가 회복되지 않는다.특히 화재 피해를 입은 고강도 H형강 기둥은 급격한 좌굴거동이 발생할 수 있어 화재 후 내진성능을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중요하다.
국내·외 기준은 화재 시 기둥의 내화성능에 대해서만 제시하고 있다. 이처럼화재 후 기둥의 잔존성능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또한 기존 화재 후 지진연구는 철근콘크리트(reinforced concrete,RC),철골철근콘크리트(steel reinforced concrete,SRC)기둥에 대해서만 진행되고 있다.따라서 화재 후 강재기둥의 내진성능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화재 및 지진연구(Choi et al.,2013;Chen et al.,2014)의 실험값을 바탕으로 유한요소해석 해석방법 검증을 수행하였으며,검증된 모델링을 통해 세장비(20.8,52.2,66.6,104.2)와 화재시간(0,30,60분)을 변수로 두어 총 12가지 열-구조(화재 후 지진)해석을 수행하였다.
기둥의 내진설계는 대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고연성 특성 및 지진에너지를 소비하는 능력인 에너지소산능력을 높게 요구한다.따라서,해석결과로부터 도출된 하중-변위특성을 이용하여 에너지소산능력 및 연성계수를 산정하였다.또한,기둥의 변위,연성 및 구조물 내력분포 추정에 영향을 미치는 초기강성과 기둥의 내력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인 최대 횡하중을 도출하여 화재피해를 입은 고강도 H형강 기둥의 잔존내진성능을 분석하였다.
최대 횡하중,연성계수,누적소산에너지,초기강성은 화재시간과 세장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화재시간보다 세장비에 대한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 후 지진시 기둥부재에 대해서만 연구를 수행하였다.하지만,화재 후 지진시 골조의 거동은 단일 부재의 거동과는 달리 복합적인 구조거동(소성 힌지)이 예상된다.따라서 추후에 화재 후 지진에 따른 강구조 골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1.2. 연구내용 및 범위 3
1.3. 연구방법 4
1.4. 기존 연구동향 7
1.4.1 화재 시 강재기둥의 내화성능 7
1.4.2 화재 후 강재기둥의 하중지지력 10
1.4.3 화재 후 기둥의 잔존내진성능 11
제 2 장 국내·외 기둥 내화설계 기준 13
2.1. 국내 기둥 내화설계 13
2.2. 국외 기둥 내화설계 16
2.2.1 Eurocode3 16
2.2.2 AISC360-16 21
제 3 장 유한요소해석 23
3.1. 유한요소해석 검증개요 23
3.2. 기존연구 분석 24
3.2.1 기존 화재연구 분석(Choi et al.,2013) 24
3.2.2 기존 지진연구 분석(Chen et al.,2014) 28
3.3. 재료 특성 31
3.3.1 온도에 따른 재료의 열적 특성 31
3.3.2 온도에 따른 재료의 역학적 특성 34
3.4. 유한요소해석 모델링 38
3.5. 유한요소해석 방법 42
3.5.1 열전달해석 42
3.5.2 구조(지진)해석 44
3.6. 기존화재 및 지진실험의 해석적 비교분석 46
3.6.1 열전달해석 검증 46
3.6.2 구조(지진)해석 검증 48
제 4 장 화재 후 기둥 지진해석 52
4.1. 화재 후 기둥 지진해석 개요 52
4.2. 변수 설정 54
4.3. 해석 조건 57
4.4. 기둥의 온도분포 58
4.5. 하중-변위 특성 61
4.5.1 최대 횡하중(maximum lateral force) 61
4.5.2 연성계수(ductility factor) 73
4.5.3 에너지소산능력(energy dissipation capacity) 78
4.5.4 초기강성(initial stiffness) 82
제 5 장 결 론 85
참고문헌 87
부 록 94
Abstract 11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