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문교영 (계명대학교, 계명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김승직
발행연도
2020
저작권
계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3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17년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인하여 대다수가 거주하는 벽식 아파트에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막대한 복구비용이 발생하였다. 연직하중 및 횡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비내력벽을 구조 설계 시 고려하지 않았으나, 시공 시 비내력벽에 최소철근을 배근하여 내력벽과 함께 공동 타설하여 비내력벽이 하중을 분담함으로서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하중을 지지하지 않도록 설계되는 비내력벽이 예상하지 않은 하중지지 요소로서 거동을 한다면, 철근콘크리트 골조와 상호작용을 일으켜 구조물의 성능 및 강도, 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현 구조 설계 및 시공 관행과 같이 비내력벽의 강도 및 강성을 무시하면 구조물의 지진 거동에 불리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내력벽과 내력벽 간의 균열 전달을 방지하고, 비내력벽의 균열 및 손상 제어를 위한 슬롯형 및 PC형 비내력벽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피해가 발생한 벽식 아파트를 기반으로 하여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정적반복가력실험이 수행되었다. 현재 벽체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와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의 연성비, 에너지소산능력, 변형률 등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 벽체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는 전단 거동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적 높은 강도와 강성이 나타났으나 급격한 하중 저감 현상으로 인하여 취성파괴가 발생하였다.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는 비내력벽이 존재하지 않는 기준 실험체와 매우 유사한 거동이 나타났으며 기존 실험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휨 거동을 나타내면서 급격한 파괴가 발생하지 않았다.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 모두 기존 실험체와 비교하여 연성비가 증가되었으며, 최대 106.50% 증가되었다. 전체적인 에너지소산능력 또한, 세 실험체 모두 증가되었으며, 최대 110.84% 증가되었다. 벽체에서 측정한 변형률 분포를 보았을 때,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 모두 기존 실험체에 비하여 낮은 변형률 분포가 나타났으며 항복과 큰 변형률 발생을 막을 수 있어 안전성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을 적용한 실험체의 경우 내력벽과 비내력벽의 균열 및 손상 전달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 결과, 비내력벽의 균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고려할 때, 개발한 비내력벽 시스템은 벽체 간 균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4
제 2 장 기존 연구 동향 및 비내력벽 설계 기준 6
2.1 기존 연구 동향 6
2.2 비내력벽 설계 기준 11
제 3 장 비내력벽 대체 시스템 개발 13
3.1 개요 13
3.2 슬롯형 비내력벽 대체 시스템 13
3.2.1 다월바를 적용한 비내력벽 대체 시스템 14
3.2.2 슬릿형 강재이력댐퍼를 적용한 비내력벽 대체 시스템 17
3.3 PC형 비내력벽 대체 시스템 20
제 4 장 실험 계획 및 실험 방법 23
4.1 개요 23
4.2 실험체 설계 및 제작 23
4.3 재료물성 30
4.3.1 콘크리트 30
4.3.2 철근 30
4.4 하중가력계획 및 실험 방법 31
제 5 장 철근콘크리트 벽체 정적반복가력실험 결과 및 분석 36
5.1 개요 36
5.2 균열 및 파괴양상 36
5.2.1 기존 실험체(CBW) 36
5.2.2 기준 실험체(RFW) 39
5.2.3 다월바 시스템 실험체(WDB) 41
5.2.4 슬릿형 강재이력댐퍼 시스템 실험체(WSD) 43
5.2.5 힌지 및 PC 비내력벽 시스템 실험체(PCW) 45
5.2.6 지진피해 사례와 유사한 시점에서의 실험체별 파괴양상 47
5.3 하중-층간변위비 관계 50
5.4 강도 및 강성 53
5.5 연성비 55
5.6 에너지소산능력 58
5.7 변형률 61
5.7.1 수직 변형률 61
5.7.2 수평 변형률 64
5.7.3 접합철물 변형률 65
5.8 전단변형률 70
5.8.1 기존 실험체(CBW) 71
5.8.2 기준 실험체(RFW) 73
5.8.3 다월바 시스템 실험체(WDB) 75
5.8.4 슬릿형 강재이력댐퍼 시스템 실험체(WSD) 76
5.8.5 힌지 및 PC 비내력벽 시스템 실험체(PCW) 77
제 6 장 결론 79
참고문헌 81
영문초록 83
국문초록 87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