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신현국 (인하대학교, 인하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조재훈
발행연도
2018
저작권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82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고층건물에서는 연돌효과로 인하여 건물의 외피에서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차는 건물 외피를 통한 통제되지 않은 침기가 발생한다. 건물에서 통제되지 않은 침기로 인하여 열쾌적 저하, 실내공기질 문제, 습기의 확산, 소음 전달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특히 고층건물에서는 연돌효과로 인하여 침기량이 증가하므로 에너지 사용량을 증가시킨다. 하지만 현재까지 침기량 검토는 저층건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고층건물에서 침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연돌효과의 영향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고층건물에서는 연돌효과로 인하여 발생하는 건물 외피에서 침기량을 검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계산 방법을 개선한 침기량 계산 방법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 번째로 다양한 국가의 기밀성능 기준을 조사하고, 국내의 데이터를 측정하여 기밀성능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고층건물에서 외피를 통한 압력차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연돌효과로 인한 압력변화를 평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층건물에서 외피압력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적인 요인을 계수로 적용하여 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기량 계산에 필요한 외피의 기밀성능 데이터를 제시하기 위하여 기밀성능에 대한 기존의 기준 및 연구 자료를 조사하고, 실제건물에서 기밀성능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외피의 기밀성능 데이터는 기밀 수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환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였으며, 침기량 계산을 위하여 기밀성능 등급을 5단계로 분류하였다.
(2) 고층건물에서는 연돌효과로 인한 외피의 압력차를 도출하기 위하여 외피압력분담비율 이용하였다. 그리고 침기량 산정모델에 연돌효과로 인하여 높이에 따라 변화하는 외피의 압력차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평균압력차법을 제안하였다.
(3) 고층건물의 침기량 계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침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영향 요인에 따른 입력 변수를 외피압력분담비율과 중성대높이비율을 사용하여 침기량 산정모델을 제안하였다. 산정모델은 고층건물을 승객용 엘리베이터 계획에 따라 다수의 싱글존 모델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싱글존에서 침기량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4) 산정모델의 오차를 검토한 결과, CONTAM 시뮬레이션 결과와 4.7 ∼ 9.2 % 오차가 발생하였다. RMSE 는 0.478 m3/s 이며, MAPE 는 7.2 % 로 나타났다. 산정모델에 정확도는 실제건물의 외피압력분담비율과 중성대높이비율을 적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5) 고층건물 난방부하에서 침기로 인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대상건물에서 연간 난방부하 중 침기부하는 35.6 % 로 나타났으며, 건물의 로비와 저층존에서의 침기부하가 건물 전체 침기부하의 93.9 % 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기계시스템 부하 계산에 조닝에 따라 연돌효과의 영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제 2 장 침기량 계산 방법 고찰 9
2.1 개요 9
2.2 침기와 환기의 정의 10
2.3 침기로 인한 문제점 12
2.4 침기량 계산 방법 16
2.4.1 환기횟수법 17
2.4.2 면적법 18
2.4.3 틈새길이법 19
2.4.4 경험적 모델 19
2.4.5 싱글존 모델 21
2.4.6 멀티존 모델 23
2.5 침기량 계산에 관한 기존 연구 26
2.6 소결 29
제 3 장 건물 외피의 기밀성능 평가 31
3.1 개요 31
3.2 건물의 기밀성능 측정 방법 32
3.2.1 가압/가압법 32
3.2.2 가스추적법 33
3.3 외피의 기밀성능 측정표준 및 기준 조사 35
3.4 외피의 기밀성능 데이터 수집 48
3.4.1 기존 연구 자료 조사 48
3.4.2 국내 고층건물 기밀성능 측정 50
3.5 외피의 기밀성능 평가 62
3.6 소결 66
제 4 장 건물 외피의 압력차 도출 69
4.1 개요 69
4.2 건물 외피를 통한 압력차의 발생원인 70
4.2.1 연돌효과로 인한 압력차 70
4.2.2 바람으로 인한 압력차 77
4.2.3 기계시스템으로 인한 압력차 80
4.2.4 구동력의 복합효과로 인한 압력차 81
4.3 외피 압력차 도출 방법 84
4.4 기준층에서 gamma 값 도출 방법 86
4.5 건물 외피에서 압력차 도출 방법 제안 93
4.6 소결 97
제 5 장 고층건물의 침기량 계산 방법 개발 99
5.1 개요 99
5.2 측정을 통한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분석 100
5.2.1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특성 100
5.2.2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측정 104
5.2.3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측정결과 분석 107
5.3 고층건물에서 침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 114
5.3.1 외부환경 요인 114
5.3.2 건물 요인 115
5.4 고층건물의 침기량 산정모델 개발 118
5.5 Gamma 와 beta 값 도출 126
5.6 소결 131
제 6 장 고층건물의 침기량 계산 방법 평가 133
6.1 개요 133
6.2 침기량 산정모델 검증 134
6.2.1 검증 대상 및 방법 134
6.2.2 산정모델 검증결과 137
6.3 실제건물의 침기량 평가 144
6.3.1 대상건물 144
6.3.2 침기량 평가 147
6.3.3 난방 에너지 평가 155
6.4 소결 160
제 7 장 결 론 163
참고문헌 167
부록 178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