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82
제 1 장 서 론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제 2 장 침기량 계산 방법 고찰 92.1 개요 92.2 침기와 환기의 정의 102.3 침기로 인한 문제점 122.4 침기량 계산 방법 162.4.1 환기횟수법 172.4.2 면적법 182.4.3 틈새길이법 192.4.4 경험적 모델 192.4.5 싱글존 모델 212.4.6 멀티존 모델 232.5 침기량 계산에 관한 기존 연구 262.6 소결 29제 3 장 건물 외피의 기밀성능 평가 313.1 개요 313.2 건물의 기밀성능 측정 방법 323.2.1 가압/가압법 323.2.2 가스추적법 333.3 외피의 기밀성능 측정표준 및 기준 조사 353.4 외피의 기밀성능 데이터 수집 483.4.1 기존 연구 자료 조사 483.4.2 국내 고층건물 기밀성능 측정 503.5 외피의 기밀성능 평가 623.6 소결 66제 4 장 건물 외피의 압력차 도출 694.1 개요 694.2 건물 외피를 통한 압력차의 발생원인 704.2.1 연돌효과로 인한 압력차 704.2.2 바람으로 인한 압력차 774.2.3 기계시스템으로 인한 압력차 804.2.4 구동력의 복합효과로 인한 압력차 814.3 외피 압력차 도출 방법 844.4 기준층에서 gamma 값 도출 방법 864.5 건물 외피에서 압력차 도출 방법 제안 934.6 소결 97제 5 장 고층건물의 침기량 계산 방법 개발 995.1 개요 995.2 측정을 통한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분석 1005.2.1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특성 1005.2.2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측정 1045.2.3 고층건물의 압력분포 측정결과 분석 1075.3 고층건물에서 침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도출 1145.3.1 외부환경 요인 1145.3.2 건물 요인 1155.4 고층건물의 침기량 산정모델 개발 1185.5 Gamma 와 beta 값 도출 1265.6 소결 131제 6 장 고층건물의 침기량 계산 방법 평가 1336.1 개요 1336.2 침기량 산정모델 검증 1346.2.1 검증 대상 및 방법 1346.2.2 산정모델 검증결과 1376.3 실제건물의 침기량 평가 1446.3.1 대상건물 1446.3.2 침기량 평가 1476.3.3 난방 에너지 평가 1556.4 소결 160제 7 장 결 론 163참고문헌 167부록 17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