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정현태 (한국항공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지도교수
이금진
발행연도
2017
저작권
한국항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8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는 항공교통량을 수용하고, 공역과 공항의 효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항공교통관리(Air Traffic Management) 기법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최신 항공교통관리 기법을 실제 운항 환경에 적용하기 전, 해당 개념의 안전성, 효율성과 신뢰성 검증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션이 널리 이용된다. 특히 최근 기존 항공교통시스템에 대혁신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되는 4차원 궤적기반운영(4D TBO: Trajectory Based Operation)이 일부 국가에서는 시범 운영되고 있으며, 2030년 이전까지 TBO 체계로의 완전한 전환이 예고되었다. 따라서 미래 항공교통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는 기존 운항체계 뿐만 아니라 TBO를 지원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TBO를 지원하는 4차원 궤적 모형을 제시하고, 입력된 비행계획을 바탕으로 참조 궤적을 생성하고 이 궤적정보를 기반으로 항공기 운동을 나타내는 시뮬레이션 모델을 제안한다. 4차원 궤적은 BADA에서 제공하는 항공기 성능 계수와 Gamma-Command Model 및 3차 베지에 스플라인을 활용하여 모델링하였으며, 이 궤적을 기반으로 CTA(Controlled Time of Arrival) 및 속도를 이용하는 항공기 유도(Guidance) 및 제어 과정을 제안한다. 그리고 인천-제주 노선을 운항하는 항공기에 대해 참조 궤적과 정적 및 동적 유도 방식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후, 실제 운항 경로와 시뮬레이션 결과 궤적 간 차이를 최소화하는 시뮬레이션 검증 및 보정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4차원 궤적 모형 및 시뮬레이션은 TBO와 비TBO 운항을 모두 지원하며, 비행계획과 레이더 히스토리를 이용하여 참조 궤적을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항공기 기동을 모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향후 연구로써 검증 및 보정 과정을 거친 시뮬레이터 모델은 다양한 항공교통관리 분야 연구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
1.2 문헌 고찰 2
제2장 4차원 궤적 모형(4D Trajectory) 4
2.1 4차원 궤적기반운영(4D TBO) 개요 4
2.2 4차원 궤적 정의 5
2.3 Eurocontrol BADA(Base of Aircraft Data) 7
2.3.1 운항 성능 모델(OPM) 7
2.3.2 항공사 절차 모델(APM) 11
2.4 4차원 참조궤적 모델링 15
2.4.1 베지에 곡선 및 스플라인 15
2.4.2 베지에 곡선을 이용한 세그먼트 모델 17
2.4.3 4차원 참조궤적 모델링 예시 21
2.5 항공기 운동 모델(Aircraft Dynamic) 25
제3장 항공교통관제 시뮬레이터 28
3.1 시뮬레이터 개요 28
3.2 참조 궤적 생성 과정 32
3.2.1 제한 조건(Constraint) 배정 및 프로파일 적용 단계 32
3.2.2 4차원 궤적 생성 단계 36
3.2.3 4차원 궤적 검증 단계 37
3.3 항공기 유도 및 제어 과정 41
3.3.1 정적 유도 방식(Static Guidance Mode) 43
3.3.2 동적 유도 방식(Dynamic Guidance Mode) 44
3.3.3 수동 유도 방식(Manual Guidance Mode) 46
3.3.4 항공기 제어 47
3.4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48
제4장 시뮬레이션 결과 53
4.1 대상 항공기 및 공역 53
4.2 결과 및 분석 53
제5장 항공기 궤적 최적화 58
5.1 시뮬레이션 최적화 개요 58
5.2 참조 궤적 최적화 59
5.3 궤적 파라미터화 및 Curve Fitting 60
제6장 결론 및 향후연구 63
참고문헌 65
SUMMARY 7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