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0
2016
제1장 서론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2. 연구의 방법 및 진행과정 4제2장 배경 연구 62.1. 저시력자의 가독성 관련 연구 62.1.1. 저시력자 정의 및 국내 현황 62.1.2. 동반질병에 따른 시야 특성 92.1.2.1. 중심시력의 소실 92.1.2.2. 주변시력의 소실 102.1.2.3. 기타 증상별 시야 상태 112.2. 가독성의 정의와 구성요소 112.2.1. 글꼴형태 132.2.2. 글꼴색과 바탕색의 색상/명도대비 142.2.3. 줄 길이 152.2.4. 글꼴의 크기 162.2.5. 권장되는 행간과 자간의 값 182.3. 화면상 글꼴-문장요소 이해 182.3.1. 휘도 192.3.2. Dot Per Inch와 Pixel Per Inch 202.3.3. Density Independent Pixel 202.4. 신규 저시력자 UX 가이드라인 방향성 22제3장 1차 실험수행 233.1. 실험개요 233.2. 실험설계 243.2.1. 실험목적 243.2.2. 실험대상 243.2.3. 실험환경 253.2.4. 실험 절차 및 방법 273.3. 실험결과 및 토의 283.3.1. 기기 종류와 가독성 영향 293.3.2. 글꼴-문장 요소 별 가독성에 대한 영향성 303.3.3. 글꼴-문장 요소 간 상호작용의 가독성에 대한 영향성 313.3.4. 기기별 최적조합 323.3.5. 1차 실험 결론 33제4장 2차 실험수행 354.1. 실험 개요 354.2. 실험 설계 354.2.1. 실험 목적 354.2.2. 실험 대상 364.2.3. 실험 환경 364.2.3.1. 실험환경 설정 및 사전실험진행 374.2.3.2. 글꼴크기의 세분화 및 자간 행간 값의 고정 374.2.3.3. 실험 난이도의 조절 384.2.3.4. 실험 도구 글자 수 조절 384.2.4. 실험 방법 394.3. 실험 결과 및 토의 404.3.1. 글꼴 크기와 기타 요소 간 상호작용의 가독성과의 영향성 404.3.2. 기기, 집단별 가독성과의 영향성 414.3.3. 요소별 상관관계 424.3.4. 최적 글꼴 크기 도출 444.3.4.1. 글꼴크기의 가독성에 대한 임계치 도출 444.3.4.2. 일반 시력자 결과값 90% 대비 저시력자 결과값 비교 464.3.4.3. 기기 별 최적 글꼴크기 474.3.5. 2차 실험 결론 49제5장 실험행태 및 사후 인터뷰 분석 515.1. 실험행태 분석 515.2. 사후 인터뷰 분석 535.2.1. 스마트기기 친숙도 및 가독성 선호요소 535.2.2. TV 가독성 실험 사후 인터뷰 565.2.3. 타블릿 가독성 실험 사후 인터뷰 575.2.4. 모바일 가독성 실험 사후 인터뷰 58제6장 저시력자 가독성 UX 디자인 가이드라인 596.1. 기기의 종류 596.2. 글꼴크기 616.3. 자간과 행간 636.4. 집단 (일반시력자와 저시력자) 64제7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677.1. 연구의 논의 및 결론 677.2. 연구의 한계점 69참고문헌 7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