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안승준 (고려대학교, 高麗大學校 大學院)

지도교수
李泰一
발행연도
2016
저작권
고려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20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초 록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해상도와 화면 크기 및 비율을 지닌 기기들이 등장하였다. 화면상 제공되는 문장의 가독성은 기존 인쇄물에서의 가독성과 다른 몇 가지 새로운 특성을 지닌다.

하지만, 대부분의 저시력자를 위한 가독성 가이드라인은 이러한 화면상의 가독요소가 반영되지 않거나 알파벳 기반의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그리고, 문장을 구성하는 가독요소 간 상호작용이 존재하지만, 글꼴-문장 가독 요소 별 단일 최적 값을 도출하는 것에만 초점을 맞추어 요소 간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가이드라인의 글꼴크기를 제안하는 표시기준으로 pt(포인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기의 해상도에 따라서 화면상 표현되는 실제 크기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글꼴-문장 요소와 요소 간 상호작용 및 가독행태가 가독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저시력자를 위한 가독성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UX 가이드라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에 관련 연구 사례 및 문헌 조사를 통해 저시력자 시야의 특성과 글꼴-문장 요소 별 특성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가독성과의 영향 및 요소 간 상관관계에 대한 가설을 설정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두 차례의 실험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주요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종류나 형태의 기기에서 동일한 글꼴-문장 요소를 지닌 문장을 제공 할 때, 이러한 기기의 요소가 가독성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다. 하지만, TV와 같이 기기를 바닥에 고정하는 경우와 타블릿이나 모바일 같이 손으로 휴대하며 가독하는 경우, 이러한 가독 행태의 차이에 따라 유사 가독행태 별로 가독성도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기의 해상도 높을수록 글씨의 표현이 매끄러워 가독하기 더 편하였다는 의견이 도출되었다.

둘째, 글꼴-문장 요소 중 글꼴의 크기는 가독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행간과 자간의 경우 미치는 영향이 미비하였다. 또한, 요소 간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글꼴크기가 포함된 상호작용에 있어서는 가독성과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간과 행간과 같은 글꼴크기가 포함되지 않은 상호작용에서는 가독성에 대한 영향도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장을 위해 글꼴-문장 요소 조합을 고려시 글꼴 크기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한다.

셋째, 동일한 조건에서 문장을 제공하여도 일반시력자와 저시력자 간 가독성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집단 간 가독성 차이를 완화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셜 가이드라인 기준으로 일반시력자의 실험결과의 90% 이상을 달성한 저시력자의 실험결과를 과업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 각 기기별 과업을 달성한 글꼴크기는 TV 42dp, 타블릿과 모바일은 36dp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모든 기기에서 글꼴크기가 39dp 이상되는 지점에서부터 임계치(가독성과 비례관계인 글꼴크기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가독성이 증가하지 않는 지점)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서 달성된 과업 기준 및 글꼴크기의 임계치를 종합한 결과, 적어도 TV 화면상 42dp, 타블릿과 모바일의 화면상 36dp 이상의 글꼴크기가 조합된 문장을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제1장 서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진행과정 4
제2장 배경 연구 6
2.1. 저시력자의 가독성 관련 연구 6
2.1.1. 저시력자 정의 및 국내 현황 6
2.1.2. 동반질병에 따른 시야 특성 9
2.1.2.1. 중심시력의 소실 9
2.1.2.2. 주변시력의 소실 10
2.1.2.3. 기타 증상별 시야 상태 11
2.2. 가독성의 정의와 구성요소 11
2.2.1. 글꼴형태 13
2.2.2. 글꼴색과 바탕색의 색상/명도대비 14
2.2.3. 줄 길이 15
2.2.4. 글꼴의 크기 16
2.2.5. 권장되는 행간과 자간의 값 18
2.3. 화면상 글꼴-문장요소 이해 18
2.3.1. 휘도 19
2.3.2. Dot Per Inch와 Pixel Per Inch 20
2.3.3. Density Independent Pixel 20
2.4. 신규 저시력자 UX 가이드라인 방향성 22
제3장 1차 실험수행 23
3.1. 실험개요 23
3.2. 실험설계 24
3.2.1. 실험목적 24
3.2.2. 실험대상 24
3.2.3. 실험환경 25
3.2.4. 실험 절차 및 방법 27
3.3. 실험결과 및 토의 28
3.3.1. 기기 종류와 가독성 영향 29
3.3.2. 글꼴-문장 요소 별 가독성에 대한 영향성 30
3.3.3. 글꼴-문장 요소 간 상호작용의 가독성에 대한 영향성 31
3.3.4. 기기별 최적조합 32
3.3.5. 1차 실험 결론 33
제4장 2차 실험수행 35
4.1. 실험 개요 35
4.2. 실험 설계 35
4.2.1. 실험 목적 35
4.2.2. 실험 대상 36
4.2.3. 실험 환경 36
4.2.3.1. 실험환경 설정 및 사전실험진행 37
4.2.3.2. 글꼴크기의 세분화 및 자간 행간 값의 고정 37
4.2.3.3. 실험 난이도의 조절 38
4.2.3.4. 실험 도구 글자 수 조절 38
4.2.4. 실험 방법 39
4.3. 실험 결과 및 토의 40
4.3.1. 글꼴 크기와 기타 요소 간 상호작용의 가독성과의 영향성 40
4.3.2. 기기, 집단별 가독성과의 영향성 41
4.3.3. 요소별 상관관계 42
4.3.4. 최적 글꼴 크기 도출 44
4.3.4.1. 글꼴크기의 가독성에 대한 임계치 도출 44
4.3.4.2. 일반 시력자 결과값 90% 대비 저시력자 결과값 비교 46
4.3.4.3. 기기 별 최적 글꼴크기 47
4.3.5. 2차 실험 결론 49
제5장 실험행태 및 사후 인터뷰 분석 51
5.1. 실험행태 분석 51
5.2. 사후 인터뷰 분석 53
5.2.1. 스마트기기 친숙도 및 가독성 선호요소 53
5.2.2. TV 가독성 실험 사후 인터뷰 56
5.2.3. 타블릿 가독성 실험 사후 인터뷰 57
5.2.4. 모바일 가독성 실험 사후 인터뷰 58
제6장 저시력자 가독성 UX 디자인 가이드라인 59
6.1. 기기의 종류 59
6.2. 글꼴크기 61
6.3. 자간과 행간 63
6.4. 집단 (일반시력자와 저시력자) 64
제7장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67
7.1. 연구의 논의 및 결론 67
7.2. 연구의 한계점 69
참고문헌 70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