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2
Ⅰ. 서론 1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제 2 절. 연구의 방법 및 논문의 구성 3Ⅱ. 이론적 배경 5제 1 절. 직무특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 51. 직무특성의 개념 52. 직무특성의 구성요소 73. 연구직의 직무특성 11제 2 절. 조직성과 141. 직무만족 17가. 직무만족의 개념 17나. 직무만족 결정요인 182. 조직몰입 22가. 조직몰입의 개념 22나. 조직몰입의 구성요소 25Ⅲ. 연구 모형 및 변수의 정의 31제 1 절 연구 모형 31제 2 절 변수의 정의 321. 독립변수: 직무특성 322. 종속변수: 조직성과 33가. 직무만족 33나. 조직몰입 343. 조절변수: 고용형태 34Ⅳ. 변수들 사이의 관계 및 가설 설정 35제 1 절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 35제 2 절 고용형태에 따른 조직성과의 차이 38제 3 절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43Ⅴ. 연구 방법 46제 1 절 연구 자료의 수집 46제 2 절 분석방법 49Ⅵ. 분석 결과 및 가설검증 50제 1 절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 501. 연구 대상자의 특성 502. 주요 변수들의 기초 통계량 52제 2 절 자료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541. 독립변수의 타당성 분석 552. 종속변수의 타당성 분석 57가. 직무만족 57나. 조직몰입 593. 독립변수의 신뢰도 분석 614. 종속변수의 신뢰도 분석 61제 3 절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 63제 4 절 고용형태에 따른 조직성과의 차이 검증 661. 고용형태별 직무만족의 차이 분석 662. 고용형태별 조직몰입의 차이 분석 67제 5 절 연구직의 직무특성, 조직성과, 고용형태의 관계에 대한 분석 691.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692.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74Ⅶ. 요약 및 결론 81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함의 81제 2 절 연구의 한계 88참 고 문 헌 89부 록(설문지) 1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