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위논문
저자정보

임성민 (홍익대학교, 弘益大學校 SMART都市 科學經營大學院)

지도교수
정재희(鄭在喜)
발행연도
2015
저작권
홍익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이용수15

표지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3)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최근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2030년에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고령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주거환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실버타운을 중심으로 고소득층의 고령자를 위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개발자와 공급자 측면의 연구로서 실제 고령자의 선호도와 고령자 활동성을 고려한 수요대응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미흡하다. 기존 선행연구에서 주거공간의 헬스케어 서비스 도입을 위한 연구가 논의되어 왔지만 구체적인 계획요소의 도출 또는 사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공간계획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급속히 증가하는 고령자를 위한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친화형 스마트 홈 공간계획에 있어서 사용자 선호도와 고령자 활동성을 고려한 공간계획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거주자의 질병의 유무가 아닌 일상생활에서의 신체적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홈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주택에 관한 문헌 고찰과 스마트 홈 사례조사를 통해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의 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선호도를 도출하였다. 각 항목의 사용자 선호도는 건강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높은 순으로 생활성, 안전성으로 분석되었다. 사회성의 경우 다른 항목에 비하여 절반 이하의 낮은 선호도를 보였다. 또한 계획요소에 대한 필요도에 있어서도 대다수의 항목에서 필요도 2.0점 이상의 높은 필요도를 보이고 있어 헬스케어 기반의 스마트 홈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인식에 비하여 실제 사용빈도에 있어서는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아직 실제로 경험하지 못한 점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문헌고찰과 사례조사, 설문조사에 바탕을 두어 사용자 선호도와 고령자의 활동성에 부합하는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홈을 제시하였다
고령자의 활동성을 고려한 완전자립, 부분의존, 완전의존의 3가지 유형에 공통적인 계획요소로 하드웨어 측면의 환기 및 통풍계획, 조도 및 채광계획, 응급상황계획, 욕실 및 화장실 계획과 더불어 소프트웨어 측면의 자동환기시스템, 도어센서, 위치감지센서 등을 제시하였으며 유형별로 추가적인 계획요소를 제시하였다. 완전자립의 경우 하드웨어 측면의 방범 및 방재계획과 소프트웨어 측면의 인감센서, 행태인지센서, 자동호출서비스(스케줄 관리), 부분의존의 경우 완전자립의 계획요소에 추가적으로 하드웨어 측면의 출입구 계획과 소프트웨어 측면의 자동호출서비스(약 복용 및 의료관련)을 적용하였다. 완전의존의 경우 완전자립과 부분의존의 계획요소에 소프트웨어 측면의 자동호출서비스(응급상황 및 안부확인), 매트센서, 도우미서비스가 추가로 제시 하였다.
현재 많은 계획요소들이 개발되고 실생활에 적용되고 있지만 활용도에 있어서 미흡하며 실버타운을 중심으로 의료서비스 차원의 서비스가 주로 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다수의 고령자 선호주거유형인 일반주택·아파트 단독가구를 대상으로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홈을 3가지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고령자의 삶의 질을 증진시켜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적 스마트 홈의 활성화에 기여하며, 향후 고령자 주거환경의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제 1 장. 서 론 1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1.3 선행연구 고찰 5
제 2 장. 고령자와 헬스케어 기반의 스마트 홈에 대한 고찰 11
2.1 고령자의 특성 11
2.1.1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 12
2.1.2 고령자의 심리적 특성 13
2.1.3 고령자의 사회적 특성 14
2.1.4 분석의 종합 15
2.2 고령자 친화형 주거공간 16
2.2.1 생활성 (Life) 21
2.2.2 건강성 (Health) 22
2.2.3 안전성 (Security) 22
2.2.4 사회성 (Community) 22
2.2.5 분석의 종합 23
2.3 헬스케어 기반의 스마트 홈 24
2.3.1 헬스케어 기반의 스마트 홈의 의미 24
2.3.2 헬스케어 기반의 스마트 홈 서비스 관련 국내·외 현황 24
2.3.3 헬스케어 기반의 스마트 홈 관련 국내 가이드라인 현황 31
2.3.4 분석의 종합 34
제 3 장. 고령자를 위한 스마트 홈 사용자 선호도 분석 36
3.1 조사도구 36
3.1.1 국내 헬스케어 기반 스마트 홈 조성 현황 및 사례분석 37
3.1.2 해외 헬스케어 기반 스마트 홈 조성 현황 및 사례분석 44
3.1.3 분석의 종합 51
3.2 조사대상 및 일정 52
3.3 조사방법 53
3.3.1 설문 조사 53
3.3.2 설문 구성 54
3.4 조사 분석 결과 57
3.4.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분석 57
3.4.2 조사대상자의 선호 주거유형 분석 59
3.4.3 조사대상자의 스마트 홈에 대한 일반적 인식 분석 61
3.4.4 조사대상자의 스마트 홈 계획요소 분석 64
3.4.5 분석의 종합 68
제 4 장.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홈 계획 70
4.1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홈 계획 방향설정 70
4.2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홈 계획요소 도출 72
4.2.1 기본계획요소 72
4.2.2 분석의 종합 81
4.3 헬스케어 기반의 고령자 친화형 스마트 홈 계획 82
4.4 소결 89
제 5 장. 결론 91
5.1 결론 91
5.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93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유형별 계획안 및 설문조사 항목)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