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및 목적) 현재 메타버스는 시공간적인 활동 범주를 넓혀주고 다양한 영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는 분야이다. 그렇기에 다양하고 폭넓은 분야에서 연구와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용자 수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나 정작 이를 이용하는 이용자 관점에서의 연구는 거의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는 메타버스를 이용자의 관점보다 기업과 같은 제작자 관점에 입각하여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메타버스라는 가상 공간을 이용자의 관점에 입각하여 발전시키기 위해 이용자 관점의 가치인 지각된 가치를 분석하여 이용자 중심의 메타버스 공간의 지향적 방향을 제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메타버스를 확장시켜 연구하기 위해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웹의 시스템, 유형적 범위 등을 고찰한다. 더 나아가 메타버스에서 요구되는 가치적인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지각된 가치의 요인과 메타버스의 특성을 상호 연결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한다. 연구 방법은 지각된 가치인 즐거움, 시각적 권위, 자기표현, 경제적 가치와 메타버스 특성인 연속성, 상호작용성, 동시성, 실재감, 경제성, 공유성, 창작성, 확장성, 축적성, 재연성과 같은 요인들의 상관성을 도출하여 관계 모형으로 연결한다.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에서 이용자들의 관점에 입각한 종합적인 가치와 공간 지향적인 방안을 제언하며 결론에 도달한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가치적 관점의 메타버스 분석으로 이용자가 메타버스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메타버스의 각 유형에 따라 종합 결론을 도출하였다. 지각된 가치를 기반으로 유형을 분류하면 증강현실, 모티베이션형, 라이프로깅은 지각된 가치에 입각하여 단일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가상세계와 게임 목적, 소통 목적, 모티베이션형, 프리젠테이션형이 같은 유형의 가치를 내포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인간이 메타버스를 향유하는 이유는 이용자가 추구하는 가치가 존재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고 지각된 가치와 특성을 기반으로 한 영역적 발전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향후에는 본 논문을 통해 메타버스가 이용자 관점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확대되기를 바라며 메타버스에서 이용자 가치 관점의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urrently, the metaverse is a field that expands the category of spatio-temporal activities and plays a role in connecting various areas. Therefore, research and interest are increasing in various and broad fields, and the number of users continues to increase, but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s who use it is hardly progressing. This means that the metaverse is being develop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creator such as the company rather than the perspective of the us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user-centered metaverse space by analyzing the perceived value, which is the value of the user's perspective, in order to develop a virtual space called the metaverse based on the user's perspective. (Method) In order to expand and study the metaverse, this study examines the web system and the tangible scope that make up the metaverse. Furthermore, in order to derive the value factor required in the metaverse, a comprehensive result is derived by interconnecting the factors of perceived valu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taverse. The research method derives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such as pleasure, visual authority, self-expression, economic value, and continuity, interactivity, simultaneity, reality, economy, sharing, creativity, expandability, accumulation, and reproducibility, and connects them to a relational model. It concludes by proposing a comprehensive value- and space-oriented plan based on users' perspectives in the metaverse. (Results) In this study, the value that users want in the metaverse was examined through metaverse analysis from a value perspective. And a comprehensive conclusion was drawn according to each type of metaverse. When classifying types based on perceived values, augmented reality, motivation, and lifogging were classified as a single type based on perceived values, and the virtual world and the game purpose, communication purpose, motivation type, and presentation type were classified as having the same type of value.(Conclusions) In conclusion, it could be seen that the reason why humans enjoy the metaverse is that the value pursued by users exists, and the possibility of territorial development based on perceived values and characteristics has been seen. In the future, this paper predict to expand the metaverse into an area where the value of the user's point of view can be realized, and that various studi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will be conducted in the metave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