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Suah Le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저널정보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제26권 제2호
발행연도
2023.5
수록면
204 - 213 (10page)
DOI
10.7846/JKOSMEE.2023.26.2.204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기후 변화의 영향은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세계의 모든 지역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후 변화의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실질적인 대응은 실제 위험을 해결하려는 정치적 의지의 부족으로 인해 여전히 불충분하다. 본 연구는 고도 및 해수면 상승 예상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해안선의 기후변화 위험도를 평가하고, 침수지역을 파악하며, 피해인구를 예측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앞서 언급한 침수지역을 기준으로 개발지역 및 농촌지역의 피해와 사회간접자본의 피해를 각각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해안은 인구밀집지역, 도시화지역, 농경지 등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에 더욱 취약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지역들의 대부분은 해안 주변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해안 도로망이 잠재적인 홍수에 더욱 취약하다. 또한 우리나라 행정구역 내 기초자치단체 단위 중 48.9%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해안가 기후변화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인구밀집지역으로의 주거이동을 줄이고 도로망을 확충하여 고유한 지방자치단체의 실정에 맞는 적응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추가적인 기후변화위험에 대한 연구, 인간의 생활환경과 자연생태계를 연계한 최적대응 연구 등 더욱 복합적인 위험평가 연구를 위한 기초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Introduction
2. Data & Methodology
3. Analysis of Coastal Environmental Damage
4. Evaluation of Climate Change Risk in Coastal Environments
5. Conclusion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