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지영 (국립기상과학원) 고희정 (국립기상과학원) 서원익 (국립기상과학원) 김정은 (국립기상과학원) 부경온 (국립기상과학원)
저널정보
한국대기환경학회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39권 제2호
발행연도
2023.4
수록면
202 - 216 (15page)
DOI
10.5572/KOSAE.2023.39.2.202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ize-segregate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soluble inorganic aerosols collected using a Micro Orifice Uniform Deposit Impactor (MOUDI) during dust-related in Jeju, Korea. Events were classified into two cases (A (Gobi/Inner Mongolia-Loess Plateau-Jeju), B (Gobi/Inner Mongolia-Manchuria-Jeju)) according to the pathway and they were subdivided into dust (D), haze (H) and haze-dust (H&D) by aerosol size distribution data of aerodynamic particle sizer. The concentration of NO₃- was relatively high at coarse mode of 3.2~5.6 μm, while it showed high concentrations with a bimodal pattern at both fine and coarse modes during hase-dust of Case B (B_H&D). Na+ showed high concentrations mostly at coarse mode of 3.2~5.6 μm, while Na+ showed high concentrations with a bimodal pattern at both fine and coarse particle modes during dust of case B (B_D).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in particle size distribu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water-soluble components originated mostly from seasalt and soil dust except B_D. B_D originated from biomass burning and alkali dust.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