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1. 들어가기
2. 한국 재난영화 속 ‘재난약자’의 불평등 양상
3. 재난영화의 젠더 변모양상
4. 재난영화의 생태학적 치유
5. 나가며
인용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재난의 양상과 재난인문학의 필요 - 세월호 참사 치유시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2025 .03
중국식 재난영화의 은유 — 영화 <최미역행>과 <에베레스트>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22 .01
[영화를 읽다-4회] 누구를 위한 재난인가
월간에세이
2021 .09
재난과 교차하는 서사 : 역사 기록 속 재난 읽기의 방법
인문연구
2020 .03
‘재난약자’ 담론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우리말연구
2021 .01
[시] 재난으로부터
자음과모음
2020 .12
웹툰에 재현된 재난 서사의 특성과 의미 - 웹툰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1 .10
[영화를 읽다-2회] 어디에도 있을 재난 속 세계에게
월간에세이
2023 .10
재난 지역 여성의 시민과학 실천을 통해 본 삶을 위한 연대: 후쿠시마 이와키방사능시민측정실 『타라치네』 활동을 중심으로
비교문화연구
2021 .12
재난과 중국의 근대 전환 — 과분의 위기부터 코로나19 대응까지 —
개념과 소통
2021 .12
지역사회의 탄력적인 재난 대처를 위한 교회의 선교적 역할
선교와 신학
2018 .06
파국과 종말의 상상력 : 한국 재난 서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20 .06
위험 시대 "재난"과 정치적 책임
철학연구
2015 .03
고대 중국의 재난관 형성과 변화 연구 ― 재이(災異)를 넘어 재난으로 ―
동양철학연구
2021 .08
재난사회의 은유와 가족 그리고 전통 : 〈바닷마을 다이어리〉와 〈심야식당〉을 중심으로
스토리앤이미지텔링
2018 .12
재난의 생명 정치와 연대의 (불)가능성 - 2000년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팬데믹 질병과 '종말'의 감각
한국문예비평연구
2021 .12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한·일 소방 및 재난안전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재난 위험 사회의 위험 관리 전략의 새로운 모색 -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시민성(Citizenship) 향상을 중심으로-
환경철학
2015 .06
재난 서사와 사랑 담론 ?201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사이間SAI
2020 .01
복합재난과 사회갈등- 한국의 ‘희생시스템’과 사회균열 과정을 중심으로
담론201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