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허영란 (울산대학교)
저널정보
역사비평사 역사비평 역사비평 2022년 여름호(통권 제139호)
발행연도
2022.5
수록면
228 - 251 (24page)
DOI
10.38080/crh.2022.05.139.228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current status and meaning of oral history and local history in S.Korea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 history. The author presented three concepts of public history in a Korean context. And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xpansion of public history requires professional historians to change their roles. In Korea, as in the West, the public’s consumption of histories has expanded rapidly. It is not usually due to the direct involvement of the historian. It means that the public has emerged as a subject in the consumption of histories like in cultural democracy. Beyon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led by experts, the public led the consumption of histories on their own and began to participate directly in writing histories. In particular, oral history is a very useful method of public history, and local history is becoming a concrete site in which it is implemented. Professional historians are required to train public historians to be active in the local community and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various areas of public history.

목차

1. ‘과거’의 유행
2. 역사 대중화, 문화콘텐츠, 문화민주주의
3. 공공역사의 용례들
4. 공공역사로서의 구술사
5. 공공역사의 현장, 지역사
6. 공공역사와 역사학자의 역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