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최승자 시의 시간성과 구원의 방법론 : 최승자의 80년대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8 .02
최승자 시의 전복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2017 .01
새로운 존재로의 여정: 발달적 애도
목회와 상담
2020 .01
김소월 시의 애도 주체와 유령의 존재론
어문론총
2016 .09
기독교상담에서 죄의 문제 다루기: 애도(mourning)를 통한 이해
복음과 상담
2018 .01
추모시에 나타난 애도의 시적 전략
국어문학
2017 .11
<사랑 후에 남겨진 것들>의 죽음에 대한 애도 : 프로이트와 데리다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2025 .03
TV드라마 <마을-아치아라의 비밀>에 나타난 애도의 정치적 상상력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최승자 시에 나타난 필수 양가성 연구
한국시학연구
2021 .02
죽음과 애도에 대한 기독교 상담학적 고찰 및 접근
신앙과 학문
2024 .09
부모의 죽음을 주제로 한 동화 속 애도 과정 탐색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04
추모(추도)예식의 애도상담적 접근
선교와 신학
2022 .02
포스트휴먼 시대 비인간 담론으로 다시 읽는 여성시 ― 김승희·김혜순·최승자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24 .02
상실 주체와 ‘상실 주변’의 ‘(불)가능한 애도’ 양상 연구 - 권여선의『레몬』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1 .09
Perpetuating the Other: Mourning and Alterity in Sarah Ruhl’s Eurydice
영어영문학21
2021 .01
애도하는 여자들 - 페미니즘 서사의 역사 다시 쓰기
현대문학의 연구
2021 .01
한글 제문에 나타난 여성의 애도
고전과 해석
2018 .01
애도 주제의 활용 양상과 그 변천 소고 - 北宋 哀悼詩를 중심으로
중국학
2024 .09
동화에 표상된 애착 대상의 상실과 애도하기에 대한 이해의 교육적 의미
한국아동문학연구
2023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