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분기점을 넘어서는 만남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무정』에 나타난 미(학)적 인식 연구
우리문학연구
2017 .10
번역미학적 관점에서 본 소설 《춘향전》의 중국어 번역 문제 - 譯本별 비유표현의 번역사례를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지
2016 .01
「知性否定」による快楽、悪魔的な美のメカニズムの比較研究 -西洋 · 日本 · 韓国文学とオスカー・ワイルドとの影響関係を中心に-
일본문화학보
2020 .08
김종삼 시에 나타난 미학적 죽음에 관한 연구 : 전봉래의 죽음과 관련하여
한국문학과 예술
2016 .07
칸트의 미학적 비인지주의 미적 경험과 판단에서 ‘관심’ 및 ‘개념’의 지위와 역할에 관하여
美學(미학)
2017 .01
미적 불일치, 상대주의, 그리고 미적 실재론
美學(미학)
2016 .03
论老子自然观念的美学意蕴
동양문화연구
2017 .01
미적 수반: 미적 속성 실재론 혹은 반실재론과의 양립가능성
美學(미학)
2020 .01
실러에게서 ‘미적 정조’를 통한 미적 교육의 역할과 의의
철학연구
2017 .11
학습자의 심미적 정서 유발을 위한 교사의 역할 - 비고츠키(Vygotsky) 예술심리학 을 중심으로 -
한국초등국어교육
2022 .10
예술적 형식의 개념과 미적 경험
美學(미학)
2017 .01
<구운몽(九雲夢)>에 나타난 미적(美的) 표현의 특징과 기능
민족문화연구
2020 .01
중국 현대 최초 백화문 아동잡지 『아동세계(兒童世界』소고 정전둬(鄭振鐸) 주편 시기를 중심으로
동화와 번역
2017 .01
지적 설계의 미학적 고찰
창조론오픈포럼
2015 .02
Aesthetic Rationality
동서인문학
2023 .02
허만하의 시론 연구 - ‘의지 세계’와 ‘미적 직관’을 중심으로
비교문학
2019 .01
아동의 공격성에 대한 놀이치료 사례 : ‘상호주관을 넘어 상호인정으로’
연세상담코칭연구
2019 .03
들뢰즈의 ‘생성’ 개념과 교육에서의 심미적 체험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8
현상학적 가치미학론 소고
동서철학연구
2019 .01
한국 현대문학에서 ‘계몽’과 ‘감정’의 관계성, 그리고 미적표지(美的標識) - 1920년 전후 신진 문학가의 문학론과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시학연구
2019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