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은 도시차원의 유니버설디자인 정책 방향 설정 및 이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종합적 정책 수립, 그리고 그 정책방향에 부합하는 사업계획을 포괄하여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 및 세부 추진과제 등의 구조를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개별 세부 추진과제들은 배경 및 필요성과 구체적 추진과제를 제시한 세부내용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의 진행경과 및 계획의 방향과 특성을 이해하고 다양성을 바탕으로 하여 지역의 특성에 맞는 지속적인 후속계획의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와 정량적 차원의 품질확보 정책에서 정성적 차원의 품격중심의 정책변화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용자에게 유니버설디자인을 인식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조성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을 정비함에 있어서 유니버설디자인 도입은 종합적 관점을 기반으로 한 방향 설정 및 계획적 접근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UD 관련 기존 정책 및 현황분석, 기본목표·추진방향 설정, 종합적·체계적 추진계획 제시, 주요시책 및 제도개선 사항 제시, 서울형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모델 개발 및 세부추진과제 제안 등을 포함하고 있는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의 방향성을 살펴보고 향후 지향해야할 정책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범위로 하고 있다. 유니버설디자인 도시를 위한 전략별 실행방안을 4개의 범주로 정립하여, 첫째, 삶의 질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둘째, 안전한 도시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셋째, 공유와 존중의 유니버설디자인, 그리고 넷째, 공감과 혁신의 유니버설디자인으로 분류하여 단계별 전략 운영방안,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서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의 비전, 목표, 10대 원칙을 가장 핵심적인 개념으로 추출하여, 공존, 공감, 공유, 공평, 포용, 생활안전, 더불어 사는 공동체, 도시 공간이 숨쉬는, 혁신적 글로벌, 지속가능한을 핵심 키워드로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의 균형발전의 문제가 국가 경제적 차원에서만 중시되는 경향이 예전의 흐름인데 반하여 최근에는 디자인과 문화를 도시 문제 해결에 도입하여 도시 공간정책 차원에서 ‘시민의 삶의 질’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메가트렌드가 되고 있는 시점에 유니버설디자인 도시 조성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서울시의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은 서울시의 정책방향 설정 및 이에 따른 유니버설디자인 도시환경 조성을 위한 종합적 정책 수립, 그리고 그 정책방향에 부합하는 사업계획을 포괄하여 비전 및 목표, 추진전략을 제시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개별 세부 추진과제들을 통해 유니버설디자인이 여러 가지 상황을 포괄하여야 한다는 연구의 전제가 세부 추진과제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법정계획이 전무한 상황에서 지자체 최초의 종합계획이라는 의미가 큰 서울시 유니버설디자인 기본계획이 앞으로 어떻게 유니버설디자인 정책으로 확산될지 기대된다.
Seoul Metropolitan City’s Universal Design Master Plan is to establish a universal design policy direction for the urban level and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olicy for the creation of a universal design urban environment, and a vision plan and goals,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individual detailed project tasks consist of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and details of the specific project task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Design Basic Plan of Seoul City and understand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plan. Based on the diversity, the policy of securing quality and quantitative dimension for establishing continuous follow- It aims at recognizing universal design to various users to cope with the central policy change demands. Universal Design Introduction of universal design in order to create a universal design city needs to set direction and plan approach based on comprehensive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existing policy and situation related to UD, The direction of universal design policy is centered on the contents of the Seoul Universal Design Master Plan, including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lans, major policies and system improvements, Seoul Universal Design City model development and detailed project proposals. The research scope is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to be directed toward future. Universal design for the city of universal design, universal design for the safe city, third, universal design of sharing and respect, and fourth, sympathy. It is classified as a universal design of innovation, and it suggests stepwise strategy operation plan and activation plan. In addition, the vision, goal, and ten principles of Seoul Universal Design City are extracted as core concepts, and innovative global, sustainable, coexistence, sympathy, sharing, fairness, inclusion, As key keywords. This is because the tendency of the problem of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 to be emphasized only on the national economic level has been the trend of the past. However, recently, by introducing design and culture into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The importance of universal design city was suggested when it became mega trend. Seoul Metropolitan City’s Universal Design Master Plan provides the vision, goals, and strategie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ncluding comprehensive policies for establishing the policy direction and universal design urban environment, and business plans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dir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etailed project includes the premise of research that universal design should cover various situations through individual detailed project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Universal Design Basic Plan of Seoul will spread to universal design policy in the future, as there is no universal design related legal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