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유해연 (숭실대학교) 유아람 (숭실대학교)
저널정보
SH도시연구원 주택도시연구 주택도시연구 제8권 제3호
발행연도
2018.12
수록면
33 - 50 (18page)
DOI
10.26700/shuri.2018.12.8.3.33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10)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ince 2017,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has morphed into a new 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impact of the urban renewal New Deal policy on residential regeneration and to recommend some improvements. Among the three types directly related to residential regenerati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proposed by looking at the status and limitations of general nearsightedness cases.
First was to elicit the need for this research by reviewing previous research and studies on exis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policies and systems. Second, by clearing up the paradigm shift in Korean housing development, we are going to look at the reasons why general residential housing has been derived. Third, analysis of the status of the general approximation activation plan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pport subjects, the operating entities, and the direction of physical and economic regeneration by case. Fourth, specific target locations were select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results, future planning and policy proposals were made based on expert advice.

목차

Abstract
1. 서론
2. 도시재생 뉴딜정책과 일반근린형 활성화 계획의 고찰
3. 일반근린형 활성화 계획의 주거지 재생사업 분석
4. 일반근린형 활성화 계획의 주거지재생사업의 개선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2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030-000344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