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19년 서울지역 극심한 연무 사례 시 PM2.5 농도 특성 및 생성에 관한 물리 · 화학적 기여도 추정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1 .10
시정계와 위성 관측 자료를 활용한 남한 안개의 객관적인 유형 분류와 특성 분석
대기
2019 .12
2019년 겨울철 수도권 연무사례시 기상 및 PM2.5 농도 예측에 영향을 주는 자료동화 효과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안개 생성 메커니즘 기반 안개 유형 분류 및 한반도 지역내 발생 특성 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2023 .12
부산 지역 연무 발생일의 미세먼지 중 금속과 이온 성분 농도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017 .06
Development of Day Fog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Optical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Using Himawari-8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19 .01
Characterization of trace elements and Pb isotopes in PM2.5 and isotopic source identification during haze episodes in Seoul, Korea
극지연구소 초록집
2023 .07
A study on ICP-RIE glass texturing by SF6/Ar plasma for high haze ratio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2016 .08
Development of Land fog Detection Algorithm based on the Opt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Fog using COMS Data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17 .08
남한에서의 안개 사례별 목측과 시정계 계측의 시정 특성 비교
대기
2018 .03
낙동강 유역 안개 발생시 기상 특성: 강정고령보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2015 .05
국제 공동 동시 관측을 통한 한중 미세먼지 차별성과 고농도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0 .10
Pathological Impact on the Phyllosphere Microbiota of Artemisia argyi by Haze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2021 .01
서울지역 연무와 관련된 에어로졸의 광학 특성 : 스카이라디오미터 및 위성관측연구
대기
2016 .06
파주안개감시측정소에서 CCTV로 관측된 도로 안개의 강도 측정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6
드론을 활용한 한반도 서해 연안의 해무 연직구조 분석
대기
2022 .12
부산지역 여름철 고농도 PM2.5 농도 사례와 기상학적 관련성
한국환경과학회지
2020 .07
2019년 수도권 연무사례시 기상모델의 분석 넛징 자료동화가 PM2.5 농도 모의에 미치는 효과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1 .04
최근 중국의 초미세먼지 오염 연구 동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5 .10
Light Scattering from Microscopic Structure and Its Role on Enhanced Haze Factor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2016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