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직이나 특정한 분야의 전문가에 대한 탐구는 오래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형태의 연구는 인지심리학자들에 의해 시작되어 전문가의 특성, 능력 및 기능 등이 조사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 연구의 발달과정, 일반교사 및 체육교사의 전문성, 그리고 연구의 한계점과 교사교육의 방향 및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교사 전문성 연구는 교사로 하여금 전문교사들의 교육관점과 행동들을 이해함으로써 자신의 교직활동을 점검하고 전문교사가 되기 위한 방향설정 및 전문성 개발에 주력하도록 한다. 전문성 연구는 de Groot(1965)의 체스 연구를 시작으로, 물리, 의학, 타이핑, 건축, 법학, 컴퓨터, 스포츠 등 전문가의 지식, 사고과정, 행동양식들이 조사되었다. 이 연구의 흐름은 교육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Berliner(1988)의 주축으로 교사 전문성 연구의 틀과 방향이 소개되었다. 교사의 발달단계를 신참교사, 경력교사, 능력교사, 우수교사 및 전문교사로 구분하여 각 단계의 교사가 가지는 특징을 열거하였다. 교사 전문성 연구의 가장 대표적인 연구 패러다임은 전문교사-초보교사의 비교연구로, 수학과 과학에서 시작되었다. 이 연구들은 방법론과 관점론 측면에서 두 가지 연구의 한계점을 가진다. 스포츠교육 분야에서는 Schempp와 그의 대학원생들의 노력으로 교사 전문성 연구의 많은 발전을 이룩하였다. 스포츠교육의 전문성 연구는 계속 이어질 전망이며, 연구의 대상이 체육교사 및 코치 뿐만 아니라 스포츠지도자의 전문성으로 확대되고 있다.
People have challenged the ways in which one can reach supenior performance levels in a variety of fields. This challenge has resulted in performance at higher levels being examined and studied among psychology scholars. Thus, some individuals called `expert` have became the focus of research and their qualities, abilities, and skills were outlined through research on expert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evelopment of research on expertise in teach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pertise and expert performance in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offered two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f doing research on expertise in teaching. Since the seminal work of de Groot(1965), knowledge, thought processes, and behaviors of experts in certain areas such as chess, medicine, physics, typing, and restaurant waiters have been identified. This research line has also been followed by educational researchers to identify the elements of expertise distinct to teaching. The work of Berliner(1988) has proposed the developmental stages that would be used as a conceptual framework of doing research on expertise in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novice, advanced beginner, competent, proficient, and expert. The expert teachers who demonstrate the exemplary and superior teaching have been compared with novice teachers in some academic area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physical education. Unlike other areas, research on expertise in teaching has two research limitations: methodological and perspective. Understanding research on expertise in teaching could provide insightful information that can be applicable to all teachers dedicated to improving their dynamic teaching. Futhermore, knowing the teaching behavior and perspectives of expert teachers would be helpful to all beginning teachers in developing their teaching pract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