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중앙법학회 중앙법학 중앙법학 제13집 제4호
발행연도
2011.12
수록면
641 - 667 (2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Heredity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features of creatures and it is well known that heredity is mediated by genes especially by DNA from parents to offspring. Due to the revolutionary progress in the biotechnology such as recombinant DNA, DNA-related inventions have been frequently submitted for patents. Subject-matter patentability of DNA-related inventions is generally approved mainly based on the utility and artificiality of the inventions. But the subject-matter patentability can not be guaranteed by the utility and artificiality of the inventions. Being useful and artificial, the subject-matter patentability should be denied when the inventions can be deemed as law of nature or abstract idea as contrasted by application of idea in order to restrict the exclusive right of the invention and prevent harmful consequences by the resulting monopoly. With given DNA, resulting amino acids are determined by the codons of the DNA and the amino acids in turn determine the proteins, essential part of most living organisms. DNA-related inventions with known function such as isolated DNA, cDNA, therefore, can be deemed as a law of nature; whereas subject-matter patentability of recombinant DNA which is made of a fragment DNA with a known function and plasmid acting as a vector, can not be denied due to the plurality of the possible combining methods. The subject-matter patentability of gene-related inventions such as isolated DNA, cDNA, therefore, can not be approved.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2)

  • 특허법원 2002. 5. 30. 선고 2001허1006 판결

    [1] 특허법 제42조 제4항에 의하면, 청구항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뒷받침되어야 하고, 발명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기재되어야 하며, 발명의 구성에 없어서는 아니되는 사항만으로 기재되어야 하므로, 특허청구범위에는 발명의 구성을 불명료하게 표현하는 용어는 허용되지 아니하는바, 하나의 DNA 서열이 바뀜에 의해 기능이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2. 5. 8. 선고 91후1656 판결

    가. 구 특허법(1990.1.13. 법률 제420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의2 제1항( 현행법 제29조 제3항에 유사)은 특허출원한 발명이 당해 특허출원을 한 날 전에 한 타특허출원으로서 당해 특허출원 후에 출원공고 또는 출원공개된 출원서에 최초에 첨부한 명세서 또는 도면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자세히 보기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60-002574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