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서론
2. 자료 및 방법
3. 모의된 앙상블 평균 오차 및 앙상블 스프레드 분석
4. SKEBS 방안에서 모형 불확실성 표현에 대한 민감도 실험
5. 결론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Ensemble Model Output Statistics를 이용한 평창지역 다중 모델 앙상블 결합 및 보정
대기
2018 .09
Performance Evaluation of Multiphysics Ensemble on the Prediction of Heavy Precipitation Cases in South Korea and Examination on the Ensemble Spread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11
기상청 고해상도 국지 앙상블 예측 시스템 구축 및 성능 검증
대기
2015 .03
Leave-one-out Bayesian model averaging for probabilistic ensemble forecasting
CSAM(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2017 .01
Development of an interpretable probability ellipse in tropical cyclone track forecasts using multiple operational ensemble prediction system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3 .04
Ensemble 기법의 인공지능모델을 이용한 PM2.5 예측 성능 개선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23 .10
PNU CGCM 앙상블 예보 시스템의 겨울철 남한 기온 예측 성능 평가
대기
2018 .12
Medium-Range Heatwave Forecasting in East Asia Based on the KMA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04
Future projections and uncertainty assessment of precipitation extremes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CMIP6 ensemble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0
Evaluation of Medium-Range Extreme Heat Event Forecasting in East Asia Using the KMA Ensemble Prediction System for Global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0
Looking inside S2S predictions: Inter-model comparison and multi-model ensemble performance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0
앙상블 칼만필터를 사용한 PM2.5 자료동화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9 .11
Development of a probabilistic aviation turbulence forecast system based on the KMA glob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0
Glob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in KMA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10
Analysis of the spread in the CESM-Large Ensemble model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5 .04
앙상블 기반 관측자료 예측 민감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과 분석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9 .10
종 분포 모형을 이용한 곰솔 잠재서식지 분포 예측 결과의 정확도 평가 연구 - 앙상블 방법론의 검증을 중심으로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0 .02
Progress in the seasonal prediction system of WMO Lead Centre for Long-Range Forecast Multi-Model Ensemble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10
기상청 기후예측시스템(GloSea6) 과거기후 예측장의 앙상블 확대와 초기시간 변화에 따른 예측 특성 분석
대기
2022 .12
Statistical typhoon climate model based on GloSea 5 ensemble outputs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6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