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희영 (서울시립대학교) 이희정 (서울시립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49卷 第6號
발행연도
2014.10
수록면
159 - 175 (17page)
DOI
10.17208/jkpa.2014.10.49.6.15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community building is attracted public attention with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This is expected to solve many problem of the modern city. To complicate the limit of physical urban planning, the community building require the restoration of communal character. This paper studies what influence the restoration of communal character have on citizens especially, women"s participation and role in terms of women"s life. I select Sung-Dae-Gol-Maeul in Dongjak-gu and Samgaksan-Jaeminan-Maeul in Gangbuk-gu, seoul as the case analysis objects, and analyze based on literature investigation of community building, depth interviews and media data. To conclude, women who take part in the community building socialized care-labor in the community, reestablished the value system through reeducation themselves and devoted to community as a means of realization of their need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서울시 마을공동체 현황과 분석틀
Ⅳ. 마을공동체 사례분석
Ⅴ. 마을만들기에서의 여성의 역할 규명
Ⅵ. 결론
인용문헌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530-002895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