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현권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사전학회 한국사전학 한국사전학 제22호
발행연도
2013.11
수록면
32 - 71 (4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goal of the article is to present a very useful and effective way of terminographic definition using the basic lexicographic concepts of the ECD of I. Mel?uk and Semantic Dictionary of Paducheva & Custova as well as the qualia structure of the Generative Lexicon of Pustejovsky, all of which are based on the semantic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this poupose, we have proposed that terminographic definitons are segmented into homogeneous concept/knowledge units called 〈noemes〉 and sematico-conceptual features which has their own values are analysed. These noemes are arranged and patterned in a consistent way within the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qualia structure, which will make easy the comparison between termes and their comprehension, and further facilitate the elimination of old concepts or noemes and the addition of new concepts/knowledge in the definition. This kind of terminographic definitons will also be easily implemented in the knowledge engineering.

목차

1. 머리말
2. 전문용어 기술의 사전학적 문제
3. 생성어휘부 이론의 응용 가능성
4. 사례 분석: 과수 열매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