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지성 (상명대학교) 문정묵 (상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20권 제5호
발행연도
2011.10
수록면
51 - 58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As it gets nearer to the modern society,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re changing and the spatial form of public space is changing into the complex structure where it is interlinked with each other diversely.
In particular, as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complex spreads nationwide, the form of complex commercial space assuming the nature of malls appears prominently. In such a large- scale complex commercial space, the diverse visual elements make the environment difficult to be perceived.
Like this, the attention in the commercial space where a variety of visual stimuli are in the presence, is important element, so the plan of VP(visual presentation) is needed for effectively selecting or inducing the space. Thus, in this study, human visual and perception process will be reviewed and a method to evaluate the attention will be proposed. Also, the attention of each stores in the complex commercial spaces will be evaluated to propose the indicators for resonable spatial panning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주목도 평가를 위한 기초이론 고찰
3. 주목도 평가를 위한 방법론 제안
4. 주목도 평가 방법론의 적용사례연구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610-00253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