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주승민 (경북대학교) 최진호 (경북대학교) 엄정섭 (경북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공간정보학회 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011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행연도
2011.10
수록면
22 - 25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지난 1950년을 기준으로 1990년까지 40년간 북극 해빙면적은 약 40% 감소했고, 2000년 들어서는 4년간 계속 여름철 해빙면적이 사상최저치를 기록하였다.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러시아와 캐나다 연안은 이미 푸른 바다로 열려있는 상태다. 이로 인해 해운, 물류업계에서는 북극항로를 통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북극항로란 동북아시아에서 유럽을 연결하는 해운경로로서 러시아의 북쪽 북극해 연안과 서쪽의 무르만스크에서 동쪽의 베링해협까지 연결하는 대서양과 태평양간의 해상 수송경로를 말한다. 물류에 있어서의 수송거리 단축은 물류비용 절감에 가장 결정적인 요소이며, 북극해항로를 통한 아시아와 유럽 간의 해상운송의 경우 수에즈운하를 통한 기존의 항로 대비 40% 정도 항해 거리를 단축 하여 각종 물류비용을 절감 시킬 수 있다. 2011년 7월 1일 발효된 한국-EU FTA로 인한 교역 비중증대와 러시아의 천연자원 수입 증가 등에 따라 늘어날 유럽물류가 북극항로를 이용할시 기존의 항로 이용할 때보다 시간과 경비의 관점에서 훨씬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무역항 중 북극해항로로의 접근성이 가장 뛰어난 강원도 지역 항만을 남동임해지역 항만과 비교 평가함으로서 각항만의 경제적 물류수송 가능 지역을 도출하고, 본격적인 북극해항로 개설을 대비하여 항만의 확충과 계획의 지표를 마련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3. Network Analysis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