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약
사사
인용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인 남녀의 연령 증가에 따른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자전거 에르고미터에 의한 간접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3 .01
최대하 운동검사시 최대산소섭취량 예측 수식의 타당성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8 .01
산처리 홍삼과 추출물의 특성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9 .12
정상홍삼과 불량홍삼의 화학적 특성 ( Chem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and Inferior Parts in Korean Red Ginse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1 .06
한국홍삼의 향 특성 ( Flav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Ginse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0 .09
홍삼이 정상 흰쥐의 혈압 및 대동맥 조직 소견 변화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8 .12
정상홍삼과 불량홍삼의 조직학적 특성 (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Normal and Inferior Parts in Korean Red Ginse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1 .06
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성기능에 대한 홍삼의 효과 및 안전성 연구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9 .06
젊은 정상성인의 비운동 VO2max 추정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 .01
인삼, 홍삼 및 발효 홍삼이 정상인의 뇌혈류, 평균혈압, 맥박수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6 .09
혈중 카드뮴과 VO2max의 관계
대한직업환경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05
장기간 홍삼복방제 투여가 혈중 지질 및 체지방 변화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2 .03
MRI을 이용한 홍삼 내부조직 판별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8 .12
수분활성도가 홍삼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Water Activity on the Storage Stability of Red Ginse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981 .12
일반인에서 홍삼이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9 .09
복합운동과 홍삼복합제의 투여가 20대 비만여성의 혈중 지질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2 .03
홍삼의 골다공증에 대한 임상적 효능 연구 ( Clinical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on Osteoporosis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998 .06
홍삼 성분의 혈당강하작용 연구 ( Ⅰ ) : 쥐의 배양 간세포의 당대사 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홍삼 사포닌 성분의 영향조사 ( Hypoglycemic Action of Components from Red Ginseng : ( Ⅰ )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on Enzymes related to Glucose Metabolism in Cultured Rat Hepatocytes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1997 .12
홍삼과 백작약의 혼합물 투여가 지구성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Ginseng Research
2007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