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제27권 제1호
발행연도
2007.10
수록면
169 - 172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Due to the deterioration of urban residential buildings, both large-scale apartment development and small-scale residential development are in full swing, but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has gotten worse by disharmonious developmen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there will be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deteriorating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future, it is imperative to develop a sustainabl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in rela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s.
This study is conducted to suggest a residential development plan which can reflect the condition of a surrounding area as well as various residential types when developing th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This development plan will allow to explore different residential development models depending on the life styles of the residents, and it will be abl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land use by utilizing non-usable land, usually from the small-scale residential development, as a green area and community facilities. In addition, by combining the residential and non-residential functions, the residential development plan will be able to satisfy the demands of urban economy and to revitalize local community, and it will eventually lead to the improvement of the overall residential environment.

목차

Abstract
1. 서론
2. 기존 도시 주거지 개발 유형의 특성
3. 블록단위 주거지 개발 방식의 개념 및 방법
4. 블록단위 주거지 개발 방식의 적용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4923095